[뉴스포커스] 신규확진 34만7,554명…"확진자 대면진료 확대"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뉴스포커스] 신규확진 34만7,554명…"확진자 대면진료 확대" [출연 : 신상엽 KMI한국의학연구소 학술위원장] 오미크론 유행이 감소세로 접어들었단 진단이 나온 가운데, 어제도 34만7천여 명의 신규 확진자가 나왔습니다 한편, 정부는 모든 동네 병·의원에서 코로나19 대면진료가 가능하도록 진료범위를 확대한다는 방침을 밝혔는데요 관련 내용들, 신상엽 KMI한국의학연구소 학술위원장과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오늘 오전 발표된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수는 347,554명으로 하루 만에 다시 30만명 중반대로 올랐습니다 지난주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요 정부는 확실히 감소세로 접어들었다고 했거든요? 이제 정체국면이 시작된 거라 봐야 할까요? 현재 상황 어떻게 보고 계신가요? [질문 1-1] 신규 확진자는 2주 내 30만 명 미만, 중환자는 최대 1,300∼1,680명까지 예측을 했는데요 11개 연구팀에서 예측한 결과를 발표한 건데, 사실 그동안 이런 예측들이 잘 맞지 않았거든요? 예측이 빗나간 이유는 어떤 이유 때문이라고 보시나요? [질문 2] 스텔스 오미크론이 50%를 넘으면서 우세종이 되면서 스텔스 오미크론에 의한 돌파감염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오미크론에 감염됐다가 완치가 된 이후에 스텔스 오미크론에 감염된 사례도 있나요? [질문 2-1]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앞으로 코로나19의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또 유행할 수 있다고 경고했는데요 이건 스텔스 오미크론이 아닌 또 다른 변이를 의미하는 건가요? [질문 3] 앞으로 2~3주 후면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가 본격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상황인데요 최근 60대 이상 고령층의 감염이 계속 늘어 전체 확진자 중 5명 중에 1명은 고령층이라고 합니다 이분들이 2~3주 후 위중증이나 사망자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는 건데요 앞으로 조금이라도 피해를 줄이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질문 4] 방역당국에 따르면 팍스로비드 20만 명분을 추가로 구매했다고 하는데요 당초 76만2천 명분에서 96만2천 명분으로 늘어난 겁니다 하지만 이건 계약한 분량이고, 실제 지금까지 국내에 들어온 약은 20만7천 명분 정도입니다 팍스로비드가 전 세계적으로 수급이 늦어지고 있는 건가요? [질문 4-1] 정부에 따르면 이처럼 먹는 치료제 재고가 어느 정도 남아 있다고 하는데요 일부 지역에서는 공급이 제대로 안 되고 있다는 기사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또 재고가 있어도 처방이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얘기도 있던데, 먹는 치료제는 빠른 투약이 관건인데, 좀 더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질문 4-2] 이런 가운데 지난 주말부터 현장에서는 라게브리오 처방을 시작했습니다 이틀간 500명분이 사용됐다고 하는데요 예방효과는 좀 떨어지지만 병용금기 약물이 적어서 팍스로비드 처방이 어려운 환자들에게 처방되었다고 하는데, 효과는 좀 더 지켜봐야 알 수 있겠죠? [질문 5] 정부가 모든 동네 병·의원에서 코로나19 대면진료가 가능하도록 진료범위를 확대한다는 방침을 밝혔습니다 현재는 호흡기 전담 클리닉이나 외래진료센터에서만 코로나 환자 치료가 가능한데요, 앞으로는 동네 병의원에서도 코로나 환자가 진료를 볼 수 있게 되는 건가요? [질문 5-1] 정부가 코로나19 감염병을 현재 1급에서 2급으로 낮추는 방안도 검토 중인데요 이건 의료체계가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인지, 아니면 그만큼 코로나19의 병독성이 좀 약해졌다는 의미인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 건가요? [질문 6] 코로나와 독감에 동시에 걸리면 사망 위험이 2 4배나 높아진다고 하던데요 방역패스가 해제된 이후 아직까지 3차 접종을 맞지 않은 분들도 더러 계십니다 방역당국이 일반인은 4차 접종까지 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했지만, 아직 3차 접종을 안 했다면, 접종을 하는 게 더 이득일까요? 어떻게 보세요? [질문 6-1] 5~11세 접종 예약도 시작됐는데, 예약률이 1 3%로 매우 낮다고 합니다 홍콩의 한 연구에 따르면, 스텔스 오미크론에 감염된 11세 미만 어린이는 다른 변이나 독감에 비해 위험하다고 하는데요 소아접종이 4월부터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