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91개

양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91개

양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양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91개] 1) 年矢每催(연시매최): 화살같이 매양 재촉함 2) 望洋之嘆(망양지탄): 망양지탄(望洋之歎) 3) 梁上塗灰(양상도회): (1)‘양상도회’의 북한어 (2)들보 위에 회(灰)를 바른다는 뜻으로, 얼굴에 분을 많이 바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男左女右(남좌여우): 음양설(陰陽說)에서, 왼쪽은 양이고 오른쪽은 음이라 하여 남자는 왼쪽이 소중하고 여자는 오른쪽이 소중함을 이르는 말 맥, 손금, 자리 따위를 볼 때 여자는 오른쪽을, 남자는 왼쪽을 취한다 5) 養祖父(양조부): 양자로 간 집의 할아버지 6) 潘楊之好(반양지호): 반(潘)과 양(楊)의 다정(多情)한 사이라는 뜻으로, 혼인(婚姻)으로 인척(姻戚) 관계(關係)까지 겹친 오래된 좋은 사이 7) 良民誤捉(량민오착): (1)죄 없는 사람을 잘못 잡음 (2)‘양민오착’의 북한어 8) 多岐亡羊(다기망양): (1)갈림길이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지 못한다는 뜻으로, 두루 섭렵하기만 하고 전공하는 바가 없어 끝내 성취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열자(列子)≫(설부(雪符))에 나오는 말이다 (2)방침이 많아서 도리어 갈 바를 모름 9) 右文左武(우문좌무): 문무를 다 갖추어 천하를 다스림 10) 亡羊得牛(망양득우): 양을 잃고 소를 얻는다는 뜻으로, 작은 것을 잃고 큰 것을 얻는 것처럼 적은 손해로 많은 이득을 얻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11) 養父(양부): 양자가 됨으로써 생긴 아버지 12) 羊頭狗肉(양두구육): 양의 머리를 걸어 놓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겉보기만 그럴듯하게 보이고 속은 변변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13) 父母出入每必起立(부모출입매필기립): 부모(父母)님께서 나가시거나 들어오시면 매양 반드시 일어나 서야 함 14) 兩袖淸風(양수청풍): 두 소매에 맑은 바람이라는 뜻으로, 양 손 모두 깨끗함을 유지하고 있는 관리의 청렴결백(淸廉潔白)함을 이르는 말 15) 巫山之雨(무산지우):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16) 兩是雙非(양시쌍비): (1)‘양시쌍비’의 북한어 (2)양편의 주장이 다 이유가 있어서 시비를 가리기 어려움 17) 以指測海(이지측해): 손가락으로 바다를 잰다는 뜻으로, 손가락으로 바다의 깊이를 재듯이 근본적 양(量)을 모르는 어리석음을 가리키는 말 18) 蚊蝄走牛羊(문망주우양): 모기와 등에가 소와 양을 쫓는다는 뜻으로, 아무리 약한 사람도 때로는 강(强)한 사람을 물리 19) 羊腸小徑(양장소경): 양의 창자처럼 구불구불 휘고 좁은 길이라는 뜻으로, 대학(大學) 입시나 입사 시험(試驗) 등(等)의 합격(合格)의 어려움을 이르는 말 20) 破天荒(파천황): (1)이전에 아무도 하지 못한 일을 처음으로 해냄을 이르는 말 ≪북몽쇄언(北夢瑣言)≫에 나오는 말로, 중국 당나라의 형주(荊州) 지방에서 과거의 합격자가 없어 천지가 아직 열리지 않은 혼돈한 상태라는 뜻으로 천황(天荒)이라고 불리었는데 유세(劉蛻)라는 사람이 처음으로 합격하여 천황을 깼다는 데서 유래한다 (2)양반이 없는 시골이나 인구수가 적은 성씨에 인재가 나서 본래의 미천한 상태를 벗어남 21) 解語花(해어화): (1)‘기생’을 달리 이르는 말 (2)말을 알아듣는 꽃이라는 뜻으로, ‘미인’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에, 현종이 양 귀비를 가리켜 말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22) 多少不計(다소불계): 많고 적음을 헤아리지 아니함 23) 見牛未見羊(견우미견양): 소는 보고 양은 보지 않았다는 뜻으로, 무엇이나 보지 않은 것보다는 직접(直接) 눈으로 보고들은 것에 대(對)하여 한층 더 생각하게 된다는 말 24) 讀書亡羊(독서망양): 글을 읽는 데 정신이 팔려서 먹이고 있던 양을 잃었다는 뜻으로, 하는 일에는 뜻이 없고 다른 생각만 하다가 낭패를 봄을 이르는 말 25) 亡羊歎(망양탄): 갈림길이 매우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을 길이 없음을 탄식한다는 뜻으로, 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여서 한 갈래의 진리도 얻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26) 無言居士(무언거사) 27) 陽開陰閉(양개음폐) 28) 與羊謨肉(여양모육) 29) 亡羊之嘆(망양지탄) 30) 兩親(량친) 31) 犧牲羊(희생양) 32) 塩分(염분) 33) 巫山雲(무산운) 34) 草廬三顧(초려삼고) 35) 懸羊頭賣馬脯(현양두매마포) 36) 弊帚千金(폐추천금) 37) 商羊鼓舞(상양고무) 38) 無量無邊(무량무변) 39) 積水成淵(적수성연) 40) 狷狂(견광) 41) 鳥之兩翼(조지양익) 42) 破壁飛去(파벽비거) 43) 三顧草廬(삼고초려) 44) 屠所之羊(도소지양) 45) 斗升之祿(두승지녹) 46) 使羊將狼(사양장랑) 47) 白眉(백미) 48) 和氣致祥(화기치상) 49) 量入計出(량입계출) 50) 壓良爲賤(압량위천) 51) 虎豹豈受犬羊欺(호표기수견양기) 52) 太牢滋味(태뢰자미) 53) 毫末(호말) 54) 犬馬之養(견마지양) 55) 兩寡分悲(양과분비) 56) 兩得(양득) 57) 首尾相應(수미상응) 58) 巵酒(치주) 59) 夫和婦順家和之本(부화부순가화지본) 60) 犬羊之質(견양지질) 61) 九折羊腸(구절양장) 62) 十羊九牧(십양구목) 63) 飛蛾赴火(비아부화) 64) 擧案齊眉(거안제미) 65) 五十步百步(오십보백보) 66) 八斗才(팔두재) 67) 一字千金(일자천금) 68) 狐裘而羔袖(호구이고수) 69) 巫山雨(무산우) 70) 啞羊僧(아양승) 71) 汗牛充棟(한우충동) 72) 兩手執餠(양수집병) 73) 三十六禽(삼십육금) 74) 楊布之狗(양포지구) 75) 巫山夢(무산몽) 76) 亡羊(망양) 77) 巫山之夢(무산지몽) 78) 出將入相(출장입상) 79) 山中宰相(산중재상) 80) 宋襄之仁(송양지인) 81) 巫山之雲(무산지운) 82) 七縱七擒(칠종칠금) 83) 不遠千里(불원천리) 84) 有酒無量(유주무량) 85) 幾何級數(기하급수) 86) 鼓腹擊壤(고복격양) 87) 亡羊之歎(망양지탄) 88) 以升量石(이승양석) 89) 射石飮羽(사석음우) 90) 羊質虎皮(양질호피): 속은 양이고 거죽은 범이라는 뜻으로, 본바탕은 아름답지 아니하면서 겉모양만 꾸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91) 亡羊補牢(망양보뢰): 양을 잃고 우리를 고친다는 뜻으로, 이미 어떤 일을 실패한 뒤에 뉘우쳐도 아무 소용이 없음을 이르는 말 원래는 양을 잃은 뒤에 우리를 고쳐도 늦지 않다는 뜻으로, 어떤 일을 실패해도 빨리 뉘우치고 수습하면 늦지 않는다는 말로 쓰였으나 현재는 주로 이와 같이 쓰이고 있다 [Credits] Contents: Background music: Bensound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