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움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105개

어려움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105개

어려움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어려움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105개] 1) 難伯難仲(난백난중): 누가 맏형이고 누가 둘째 형인지 분간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비교되는 대상의 우열을 가리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2) 絃歌不輟(현가불철):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고사에서 유래되어 어려움을 당해도 학문을 계속함을 이르는 말 3) 花笑聲未聽鳥啼淚難看(화소성미청조제루난간): 꽃은 웃으나 소리는 들리지 않고, 새는 우나 눈물은 보기가 어려움 4) 竿頭之勢(간두지세): 대막대기 끝에 선 형세라는 뜻으로, 매우 위태로운 형세를 이르는 말 5) 千苦萬難(천고만난): 천 가지의 괴로움과 만 가지의 어려움이라는 뜻으로, 온갖 고난을 이르는 말 6) 多岐亡羊(다기망양): (1)갈림길이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지 못한다는 뜻으로, 두루 섭렵하기만 하고 전공하는 바가 없어 끝내 성취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열자(列子)≫(설부(雪符))에 나오는 말이다 (2)방침이 많아서 도리어 갈 바를 모름 7) 東西不變(동서불변): 동쪽과 서쪽을 분별(分別)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1) 안개 따위가 짙게 끼어서 주위(周圍)를 분간(分揀)하기 어려움 (2) 몽매(蒙昧)하여 아무 것도 모름을 이르는 말 8) 創業守成(창업수성): 나라를 세우는 일과 이를 지켜 나가는 일이라는 뜻으로, 일을 시작하는 것은 쉽지만 이룬 것을 지키는 것은 어려움을 이르는 말 9) 自力更生(자력갱생): 남에게 의지하지 아니하고 자신의 힘만으로 어려운 처지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살아감 10) 前途多難(전도다난): 앞길이나 앞날에 어려움이나 재난(災難)이 많음 11) 百折不屈(백절불굴): 어떠한 난관에도 결코 굽히지 않음 12) 死生同苦(사생동고): 죽고 사는 고생을 함께한다는 뜻으로, 어떤 어려움도 같이함을 이르는 말 13) 坦坦大路(탄탄대로): (1)험하거나 가파른 곳이 없이 평평하고 넓은 큰길 (2)아무런 어려움이 없이 순탄한 장래를 이르는 말 14) 無據不測(무거불측): (1)성질이 말할 수 없이 흉측함 (2)근거가 없어 헤아리기 어려움 15) 枉尺直尋(왕척직심): 한 자를 굽혀서 여덟 자를 편다는 뜻으로, 조그만 양보로 큰 이득을 얻거나 작은 어려움을 참아 큰일을 이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6) 安居危思(안거위사): 편안할 때에 어려움이 닥칠 것을 미리 대비하여야 함 17) 毋望之人(무망지인): 급한 어려움에 처했을 때 뜻밖의 도움을 주는 사람 18) 安不忘危(안불망위): 편안한 가운데서도 위태로움을 잊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항상 마음을 놓지 않고 스스로를 경계함을 이르는 말 19) 多事多難(다사다난): 여러 가지 일도 많고 어려움이나 탈도 많음 20) 百難之中(백난지중): 온갖 괴로움과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21) 畵虎難畵骨知人未知心(화호난화골지인미지심): 호랑이를 그리되 뼈를 그리기 어렵고, 사람을 알되 마음까지 알기는 어려움 22) 兩是雙非(양시쌍비): (1)‘양시쌍비’의 북한어 (2)양편의 주장이 다 이유가 있어서 시비를 가리기 어려움 23) 衆怒難犯(중노난범): 분노하여 일어선 대중을 당하여 내기 어려움 24) 虛實難辨(허실난변): 허실을 판별하기 어려움 25) 波瀾曲折(파란곡절): 사람의 생활이나 일의 진행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나 시련 또는 그런 변화 26) 戰易守難(전이수난): 싸우기는 쉬워도 지키기는 어려움 27) 黃河千年一淸(황하천년일청): 황하(黃河)가 천년에 한번쯤 맑아질는지도 모르겠다는 뜻으로, (1) 성인(聖人)의 탄생(誕生)이 이처럼 어려움 (2) 이루어지기 힘든 일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28) 羊腸小徑(양장소경): 양의 창자처럼 구불구불 휘고 좁은 길이라는 뜻으로, 대학(大學) 입시나 입사 시험(試驗) 등(等)의 합격(合格)의 어려움을 이르는 말 29) 射幸數跌(사행삭질): 요행(僥倖)을 노려 쏘는 화살은 번번이 차질(蹉跌)을 일으킨다는 뜻으로, 사행심(射倖心)으로 하는 행위는 성취하기 어려움을 비유하는 말 30) 狐濡尾(호유미): 여우가 물을 건너려다 겨우 꼬리만 적시고 그만두었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 시작과 동시에 중단됨을 이르는 말 31) 山戰水戰(산전수전) 32) 已發之矢(이발지시) 33) 難兄難弟(난형난제) 34) 難中之難(난중지난) 35) 孰能禦之(숙능어지) 36) 節上生枝(절상생지) 37) 寶貨難售(보화난수) 38) 風窓燈易滅月屋夢難成(풍창등역멸월옥몽난성) 39) 春無三日晴(춘무삼일청) 40) 避坎落井(피감낙정) 41) 煙波萬里(연파만리) 42) 亡羊歎(망양탄) 43) 桂玉之艱(계옥지간) 44) 複雜多端(복잡다단) 45) 篳路藍縷(필로남루) 46) 亡羊之嘆(망양지탄) 47) 黑牛生白犢(흑우생백독) 48) 半僧半俗(반승반속) 49) 熟習難當(숙습난당) 50) 變化難測(변화난측) 51) 難解難入(난해난입) 52) 滿則溢(만즉일) 53) 百年河淸(백년하청) 54) 在所難免(재소난면) 55) 卓乎難及(탁호난급) 56) 急難之風(급난지풍) 57) 食玉炊桂(식옥취계) 58) 破鏡不再照(파경부재조) 59) 孤掌難鳴(고장난명) 60) 臥治天下(와치천하) 61) 不撓不屈(불요불굴) 62) 燈下不明(등하불명) 63) 薄志弱行(박지약행) 64) 號令如汗(호령여한) 65) 冒萬死(모만사) 66) 隔靴爬癢(격화파양) 67) 落落難合(낙락난합) 68) 死地同苦(사지동고) 69) 前門拒虎後門進狼(전문거호후문진랑) 70) 尾大不掉(미대부도) 71) 朝令夕改(조령석개) 72) 千難萬苦(천난만고) 73) 露宿風餐(노숙풍찬) 74) 何難之有(하난지유) 75) 信否兩難(신부양난) 76) 治亂興亡(치란흥망) 77) 一虛一實(일허일실) 78) 山窮水盡(산궁수진) 79) 內憂外患(내우외환) 80) 百苦千難(백고천난) 81) 盲龜浮木(맹귀부목) 82) 盲龜遇木(맹귀우목) 83) 乞不竝行(걸불병행) 84) 戴盆望天(대분망천) 85) 代馬依北風(대마의북풍) 86) 冬氷可折(동빙가절) 87) 七難八苦(칠난팔고) 88) 創業易守成難(창업이수성난) 89) 色難(색난) 90) 亡羊(망양) 91) 恍惚難測(황홀난측) 92) 脣亡齒寒(순망치한) 93) 臥薪嘗膽(와신상담) 94) 情緖纏綿(정서전면) 95) 氷炭不相容(빙탄불상용) 96) 人心難測(인심난측) 97) 蜀道(촉도) 98) 朝令暮改(조령모개) 99) 亡羊之歎(망양지탄) 100) 霜風高節(상풍고절) 101) 以升量石(이승양석) 102) 獨掌難鳴(독장난명) 103) 桂玉之嘆(계옥지탄) 104) 虎尾難放(호미난방): 한번 잡은 호랑이의 꼬리는 놓기가 어렵다는 뜻으로, 위험한 일에 손을 대어 그만두기도 어렵고 계속하기도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05) 寸草春暉(촌초춘휘): 작은 풀과 봄볕이라는 뜻으로, 봄철의 작은 풀이 봄 햇살에 무럭무럭 자랄 수 있듯이 부모의 은혜는 만분의 하나라도 갚기가 어려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寸草’는 봄풀로 자식의 효심을, ‘春暉’는 봄볕으로 부모의 은혜를 비유 [Credits] Contents: Background music: Bensound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