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핵폐기물 영구 처분장 되나?(2023.2.13/뉴스투데이/MBC경남)
#원전 #님비시설 #님비 #사용후핵연료 #친환경 #한국원자력 #친환경인가 #RE100 ◀ANC▶ 부산 고리원전 안에 사용후핵연료의 건식저장시설을 짓는 건설 계획안을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임시 저장시설이 영구처분장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지역사회 우려는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현지호 기자입니다. ◀VCR▶ 고리원전 내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이 본격 추진에 들어갔습니다.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인 사용후핵연료 2천880다발을 저장할 수 있는 규모로 지어지는데, 시설 설계에 2년, 각종 인허가를 거쳐 완공까지는 7년 정도가 걸릴 예정입니다. 계획대로라면 고리원전의 사용후핵연료 포화시점인 2031년이면 운영을 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 한수원이 고리 건식저장시설 건설계획을 이사회 의결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지역사회에서 반대 여론이 커지고 있습니다. (S/U) 시민단체가 잇따라 성명을 발표하는 등 지역사회에서는 일방적인 정책 추진에 반발하는 분위기가 확산하고 있습니다. 원전 부지가 있는 기장군과 기장군의회는 앞서 주민 동의 없는 정책 추진에 반대 입장을 밝혔고, 부산시도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특별법을 제정하는 게 먼저"라며 반대 입장을 밝혔습니다. 임시저장을 위한 건식저장시설이 사실상 영구처분장이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INT▶ [ 김정환 / 부산YWCA 총장 ] "이번 결정은 독단적이고 일방적인 결정으로, 이 결정 과정은 무효이며 부산시민은 인정하거나 받아들일 수 없다." 변수는 국회에 상정돼 있는 고준위 방폐물 특별법입니다.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장의 부지 선정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하는데, 이 법안에 임시저장시설에 관한 주민 의견 수렴 절차도 규정돼 있습니다. 이 특별법이 만들어지기도 전인데 시설을 짓겠다고 하는 것도 맞지 않고, 특별법이 무산될 경우 임시저장시설이 실제로 영구처분장이 될 수 있는 겁니다. ◀INT▶ [ 박태현 / 산업통상자원부 원전환경과장 ] "이미 원자력안전법에 임시저장시설 관련 조항이 들어가 있습니다. 원자로의 관계시설로서 건립할 수 있는 것으로 돼 있고요. 특별법은 주민 의견 수렴과 지원 방안을 (구체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지역사회의 우려를 잠재울 뚜렷한 해법을 내놓지 못 하는 한 반발 여론이 계속될 수밖에 없는 상황. 위험만 떠안으라고 할 게 아니라 왜 필요한지, 얼마나 안전한지 먼저 설득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MBC NEWS 현지호입니다. ◀END▶ [ MBC경남 NEWS 구독하기 ] 구독하기: https://www.youtube.com/c/MBC경남News?s... [ MBC경남 NEWS 제보하기 ] 시청자 여러분들의 제보를 받습니다. 현장의 소리를 들으며 항상 정확한 정보를 신속하게 보도하겠습니다. 문자, 전화 제보 - 771.2580 / 250.5050 홈페이지 제보 - https://mbcjebo.com/?c=gn / https://mbcgn.kr/ 카카오톡 채팅 제보 - http://pf.kakao.com/_tUxnZj/chat [ MBC경남 NEWS 웹사이트 ] 홈페이지 : http://www.mbcgn.kr 카카오톡: http://pf.kakao.com/_tUxnZj 페이스북 : / withmbcgn 인스타그램 : / mbcgn_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