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방역대책본부 브리핑 (12월 13일) / YTN

중앙방역대책본부 브리핑 (12월 13일) / YTN

[이상원 /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장] 역학조사 분석단장입니다. 12월 13일 코로나19 감염병 정례브리핑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지난주의 위험도 평가 결과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전국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이 모두 증가하였습니다. 수도권은 전전주 87.8%에서 84.9%로 소폭 감소하였지만 비수도권은 62.8%에서 68.5%로 증가하였습니다. 의료대응 역량 대비 발생비율은 수도권이 127.5%로 초과 상태입니다. 비수도권도 77.7%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일평균 확진자 수는 6068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하였습니다. 60세 이상 확진자의 비율은 소폭 감소하였지만 확진자는 지지난주 대비 3000명 이상 증가하여 이에 따라서 위중증 그리고 사망자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검사 양성률은 전전주에 2.19%에서 2.46%로 증가하였습니다. 예방접종 지표는 60세 이상 3차 접종률이 31.4%로 지난주 대비 13.3% 증가하였습니다. 12월 12일 일상회복지원위원회 방역의료분과는 종합적인 위험도를 전국, 수도권 그리고 비수도권 모두 매우 높음으로 평가하였습니다. 또한 다음 주 위중증과 사망자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60세 이상의 신속한 3차 접종과 중고등학생 접종 완료가 필요하다고 보았습니다. 그리고 수도권 의료대응역량은 한계 초과가 지속되고 있고 비수도권도 곧 의료역량한계에 도달할 우려가 있으며 재택치료 확대가 필요함을 강조하였습니다. 다음은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입니다. 12월 2주 재원 중인 위중증환자 수는 60대 이상이 672명, 40~50대가 108명, 30대 이하가 27명이었습니다. 사망자 수는 60대 이상이 380명으로 가장 많았고 40~50대가 18명, 30대 이하가 3명이었습니다. 최근 5주간의 사망자 1254명 중 백신 미접종자 그리고 1차 접종자는 51%인 640명, 2차 접종자는 46.6%인 584명, 3차 접종자는 2.4%인 30명입니다. 60대 이상 연령 중 미접종 또는 1차 접종만을 받으신 분들은 7.5%에 불과하나 한 주간 전체 사망의 절반이 여기서 발생하는 안타까운 일들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1주간 코로나19 국내 발생 신규 환자는 일평균 6068명으로 전주 대비해서 38.2% 증가하여 확산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주간 감염재생산지수는 전국 1점 이상으로 유행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며 수도권이 1.2, 비수도권은 1.31입니다. 전주 대비해서 모든 연령군에서 일평균 발생률이 증가하였고 19세 이하와 60대 이상 연령군에서 지속적으로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60대 이상 연령군의 12월 2주 대비 10만 명당 일평균 발생률은 5.7명에서 16.3명으로 증가하였고 전체 확진자의 35%를 차지하는 비중입니다. 학령기 연령군의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은 전전주 10.2명에서 15명으로 약 1.5배 높아졌고 특히 15세 이하 연령군의 경우에는 16.7명으로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3차 접종률이 높은 요양병원 시설의 집단감염은 감소세로 3차 접종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나 접종률이 낮은 18세 이하 청소년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12월 11일 기준으로 변이바이러스의 국내 감염 및 해외 유입 사례는 델타형 변이가 국내 98.9%, 국외 94.7%이고 오미크론형 변이가 66건 확인되었습니다. 확진자가 7000명을 넘으면서 의료대응 역량이 한계에 다다르고 오미크론 변이가 지역사회에 확산되고 있는 등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병상 확보를 위해서 비수도권 종합병원 대상 추가 행정명령으로 1700여 개의 병상을 확보해나갈 예정입니다. 국내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라 입국제한 국가를 9개국에서 11개국으...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replay/view.php... ▶ 제보 하기 : https://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