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교양사전 365] #41 그리스도와 문화 (남성혁 교수, 장로회신학대학)](https://poortechguy.com/image/xlTwD82k9zU.webp)
[기독교교양사전 365] #41 그리스도와 문화 (남성혁 교수, 장로회신학대학)
기독교교양사전 365 프로젝트의 뜻에 동참하시고자 하는 분들은 아래의 계좌로 후원하실 수 있습니다 후원하실 때에 '성함(365)', 예를 들어 홍길동(365)라고 써주시면 됩니다 카카오뱅크 79791050098(신익상, 한국기독교교양학회) #그리스도와문화 #기독교교양, #365프로젝트, #기독교교양사전, #남성혁교수 *그리스도와 문화 (리처드 니버) 오늘날 전세계가 통신과 교통의 발달로 가까워지게 되자, 현대인들은 자신이 속한 문화와는 다른 타문화들과 조우하게 되는 일이 빈번해 졌습니다 타문화와 만남은 단지 해외를 방문할 때만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한국사회 안에서도 다양한 지역, 계층, 세대, 성별의 차이로 인해 항상 일어나고 있습니다 시대의 변화 속에서 우리는 과연 문화를 어떻게 마주해야 하며, 기독교는 어떤 입장으로 문화를 이해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문화라는 단어는 라틴어 'Cultura'에서 유래합니다 이는 '경작하다' 혹은 '교양'이라는 단어로 진화했습니다 경작이 인간이 외부에 있는 자연을 길들이는 것이라면, 교양은 인간 내부에 있는 자연을 길들이는 것입니다 이처럼, 문화는 인간에 의해 다듬어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흥미로운 것은, 한자문화권에서 '文化'라는 표현은 '글을 새긴다'라는 뜻으로 자연상태가 아닌 사람에 의하여 의도적으로 교육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문화가 다양한 만큼, 그 정의도 다양합니다 첫째, 뛰어남으로서 문화입니다 고급 엘리트 문화와 저급한 대중 문화라는 표현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오늘날 젠틀맨(Gentleman)은 교양있고 예의 바른 사람을 지칭합니다 이는 계급사회에서 일반인들과 구분하여 영국 상류층 전반을 지칭하는 용어였습니다 둘째, 진화의 관점에서 문화입니다 문화는 '교육받은' '질서 있는' 의미를 가지며, '야만'의 반대말로 사용됩니다 '문명(Civilization)'은 주로 물질의 발전 상태를 강조한다면, '문화'는 정신적인 발전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셋째, 예술과 정신적 산물로서 문화입니다 예술, 종교, 교육, 언론 등 주로 지적활동으로서 문화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표현입니다 문화를 다른 사회 영역으로부터 분리한 독자적인 관념으로 이해합니다 넷째, 생활양식으로 문화입니다 상징체계를 통해 사회를 경험하고 인식하며 다른 구성원과 소통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한국의 존대말 문화는 타언어와 구별되어 한국인이 하나의 총제적인 생활양식으로 공유하는 문화입니다 문화를 대하는 태도도 다양합니다 첫째, 자문화 중심주의입니다 이는 같은 집단 내의 일체감 형성하고 사회 통합 및 안정에 기여하지만, 지나칠 경우 국제적 고립 자초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나치즘, 중화사상, 백인우월주의, 국수주의, 문화제국주의 등이 있습니다 둘째, 문화 사대주의입니다 이는 타문화 수용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자신의 문화를 과소평가하고 더 나아가 문화적 주체성 상실할 우려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조선시대 소중화주의나 일본 메이지 시대의 탈아입구의 자세입니다 셋째, 문화 상대주의입니다 이는 타문화를 존중하고, 올바른 문화 이해 및 국제 상호간의 이해와 협조 가능합니다 단, 지나칠 경우 모든 것이 상대화되어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상실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기독교에서는 문화를 어떻게 이해하고 어떠한 입장을 취하는지 알아봅시다 이와같은 문화 상관관계에 대하여 기독교계에도 익히 알려진 고전이 있습니다 바로, 1951년 미국의 신학자 리차드 니버가 저술한 『그리스도와 문화(Christ and Culture)』라는 작품으로, 그리스도와 문화에 관계에 대하여 5가지 문화유형론을 보여줍니다 첫째, '문화에 대립하는 그리스도(Christ against Culture)'입니다 문화에 대한 그리스도인들의 배타적인 태도를 가리킵니다 기독교 공동체 구성원 사이의 결속이 강조되는 반면, 세속 문화는 악의 세계로 규정합니다 초기 기독교 공동체부터 시작하여 이러한 태도는 전통적으로 문화에 대한 기독교의 대표적인 태도였습니다다 2세기의 교부 터툴리안은 그리스도인들이 세상 문화의 타락한 오락, 학문, 정치에서 탈출하도록 권면하였습니다 이러한 태도는 주로 사회가 기독교를 박해하는 상황 속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둘째, '문화의 그리스도(Christ of Culture)'입니다 첫 번째 유형과 정반대 유형입니다 그리스도와 문화 사이에 근본적인 일치와 연속성이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관점에서 보면 그리스도는 위대한 교육자요 문화의 영웅입니다 토마스 제퍼슨은 그리스도를 완전한 도덕 교육가로 보았고, 술라이에르마허는 그리스도를 모든 종교와 문화의 완성자로 보았습니다 그리스도의 렌즈를 통해 문화를 볼 수 있고, 문화의 렌즈를 통해 그리스도를 볼 수 있습니다 긍정적으로 기독교 메시지를 토착화하고자 하는 표현이며, 부정적으로 문화에 잘 맞추어지기 위하여 기독교의 메시지가 훼손될 수 있습니다 셋째, '문화 위의 그리스도(Christ above Culture)'입니다 그리스도와 문화를 다 긍정하지만, 그리스도를 높은 층에 두고 문화를 낮은 층에 둔다 이러한 생각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토마스 아퀴나스에게서 나타났습니다 그리스도는 문화 내에 포섭되지는 않지만 문화가 추구하는 지점에 자리하는 이상형으로 존재합니다 문화 속의 선한 것들은 하나님으로부터 왔다 그러나, 문화 속에 있는 그 '선함'은 기독교적 계시와 교회의 중재가 있을 때에 온전히 발현됩니다 타문화와의 소통은 그리스도의 징후를 찾았을 때 소통의 문이 열린다 세속 문화의 중요한 요소들이 기독교의 관점에 맞춰지도록 강요되는 왜곡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넷째, '역설 관계에 있는 그리스도와 문화(Christa and Cutlure in Paradox)'입니다 역설적인 관계를 가진 그리스도와 문화를 모두 인정하면서도, 양자의 이질성을 강조하는 것이 이원론자의 입장입니다 그리스도와 문화의 관계를 화해할 수 없는 양자간의 끊임없는 싸움으로 이해합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의 삶은 긴장 속에 있습니다 세상에 살지만 세상의 속하지 않습니다("In the world, but not of the world") 대표적 인물은 사도 바울과 루터 그리고 키에르케고르가 있습니다 다섯째, '문화의 변혁자인 그리스도(Christ transforming Culture)'입니다 세계는 배격되어서도 안되고 소홀히 여겨져도 안됩니다 따라서 이 유형에서 주장된 그리스도는 죽음과 죄에 예속되어 있는 인간을 구속하시는 것뿐 아니라 문화 속에서 사는 인간 생활을 계속적으로 성화시키고 변혁시키시는 분으로 이해됩니다 죄된 문화의 구원이 실제적으로 가능하다 보고, 문화의 모든 요소를 그리스도를 위하여 개혁을 시도합니다 이 유형의 대표적 인물은 어거스틴, 칼빈, 존 웨슬리 등이 있습니다 문화의 유형론을 이해할 때, 각 유형을 이해하는 해석자의 상황에 따라 호불호가 나뉘게 됩니다 같은 모델이라도, 시대와 상황에 따라 그 이해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리차드 니버의 문화유형론은 기독교와 문화의 관계 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문화와 문화가 조우하는 문화교차 상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