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뉴스-더인터뷰] 지명 50%가 일본식...日흔적, 왜 못 지웠나? / YTN](https://poortechguy.com/image/y7VHszRHznM.webp)
[더뉴스-더인터뷰] 지명 50%가 일본식...日흔적, 왜 못 지웠나? / YTN
■ 진행 : 박상연 앵커 ■ 출연 : 배우리 / 한국땅 이름학회 명예회장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우리 사회 곳곳에는 지명에서처럼 일제가 남긴 잔재가 사회 깊숙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남은 일본식 지명은 무엇이고 또 고유지명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해야 할지 배우리 한국땅 이름학회 명예회장님과 좀 더 자세하게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회장님, 안녕하십니까? [배우리] 안녕하세요? [앵커] 창씨개명도 있었지만 창지개명도 있었습니다 일본이 우리나라를 식민지배했을 때 얼마나 많은 지명들을 바꾼 건가요? [배우리] 엄청나죠 그러니까 전국적으로 보면 한 반 정도가 바뀐 것인데 특히 서울 같은 데는 종로구 같은 데는 61% 정도가 거의 일본식 이름이에요 [앵커] 일본이 이렇게 창지개명을 시킨 이유가 있을까요? [배우리] 아무래도 우리의 얼을 말살해야 됐기에 이 사람들이 아마 민족말살정책의 하나로 이것을 서두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창씨개명은 조금 나중에 했고요 창지개명을 먼저 한 거예요 우선 쉬운 것부터 하면서 우리의 얼을 하나하나 없애나가는 그런 방법을 택했죠 [앵커] 그러면 광복 이후에 일본식으로 바뀌었던 지명들이 다시 한국식으로 바뀌었습니까? [배우리] 바뀌었다고 볼 수가 없어요 예를 들면 서울의 인사동 같은 곳은 처음에 인사동이었다가, 인사동도 사실 그게 조선시대에는 없던 이름 아닙니까 그런데 이게 나중에 인사청으로 됐는데 8 15광복 이후에는 정 자를 전부 동으로 바꾸어놨어요 그러면 정을 동으로 바꿨다고 해서 그게 일본식 이름 정리라고 할 수 있을까요? 그건 아니거든요 그래서 일본식 이름을 정리하면 사실 우리 앞에 요소, 인사, 이런 말 자체를 바꾸어야 되는 거죠 뒤의 정 자를 동으로 바꿔서 일본식 이름 정리다, 이건 말이 안 되는 얘기입니다 [앵커] 회장님, 아직도 일본식 지명 사용하는 곳들 어디어디가 있을까요? [배우리] 엄청 많죠 예를 들면 세종대왕이 태어난 곳 거기는 옥인동인데 사실 이 옥인동이라는 이름도 일본인이 붙인 거예요 거기는 왜 그러냐 하면 그 옥 자가 옥류동의 옥 자거든요 그런데 거기 인왕산 바로 밑입니다 그러니까 세종대왕이 태어나신 곳인데 옥류동의 옥 자하고 인왕산의 인 자를 따서 옥인동 이런 식으로 만들었다는 말이에요 관철동 같은 곳도 철물점 다리라는 것을 하고 관 자를 관인방 같은 관 자를 써서 관철동 이런 식으로 한 거죠 또 심지어 자기네들의 배 이름까지 그걸 가지고서 이름을 붙인 경우도 있거든요 예를 들면 잘 아시는 인천의 송도 얘기입니다 이런 식으로 일본인들은 서서히, 서서히 우리의 얼 말살정책의 하나로 이렇게 땅 이름을 바꿔나간 겁니다 [앵커] 아직도 일본식 지명을 쓰는 비율이 꽤 많은 것으로 말씀을 해 주셨는데 광복 이후에 일본식으로 바뀐 지명이 한국식으로 바뀌지 못한 이유는 뭐라고 볼 수 있을까요? [배우리] 그건 아무래도 건드리기가 어려웠을지 모르겠어요 그러니까 주민들의 반대도 있을지 모르고 지명을 바꾼다는 게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니거든요 그래서 쉬운 것부터 해야 되는데 그조차도 우리가 못 해놨어요 그조차도 쉬운 일부터 있거든요 얼마든지 할 수 있는 일이 있어요 예를 들면 다리 이름 같은 거, 학교 이름 같은 거 이건 얼마든지 우리가 바꿀 수 있는 거 아니겠어요 그러면 옛날에 우 (중략)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모바일앱, 8585@ytn co 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