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기록유산' 동학 농민 기록물…그 의미와 남은 과제는? / SBS

'세계기록유산' 동학 농민 기록물…그 의미와 남은 과제는? / SBS

〈앵커〉 100년 전쯤, 동학 농민군이 남긴 기록물이 4·19혁명 기록물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에 등재됐습니다 동학농민혁명의 역사가 세계사적인 가치를 인정받게 된 셈인데요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 등재의 의미와 남은 과제를 살펴봤습니다 하원호 기자입니다 〈기자〉 주동자가 누군지 알 수 없도록 원을 둘러 서명한 사발통문 백성들을 괴롭히는 탐관오리를 처단하겠다는 굳은 결의가 담겨있습니다 1894년, 농민군이 쓴 편지에는 국가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왜군과 싸우고 있다며 나라의 운명에 생사를 맡기겠다고 적혀 있습니다 129년 전, 이 땅의 민중들이 남긴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 기록유산에 등재됐습니다 185건, 1만 3천여 페이지에 이릅니다 [이병규/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연구조사부장 : 세계가 동학 농민 혁명이라고 하는 역사적 사건이 동아시아는 물론, 세계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런 점에서 평가를 받았다, 이렇게 볼 수 있겠습니다 ] 유네스코는 동학농민혁명이 부패한 지도층에 저항하고 외세의 침략에 맞서 평등하고 공정한 사회를 세우기 위해 민중이 봉기한 사건이라고 평가했습니다 특히 동학농민군이 설치한 민관협치기구 집강소는 19세기 당시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을 수 없는 민주주의의 실험으로서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습니다 우리나라가 보유한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은 훈민정음과 조선왕조실록 등 모두 18건에 이르지만, 전북과 직접 관련된 기록물이 등재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동학농민혁명이 세계사적 위상을 갖게 된 만큼, 우리가 풀어야 할 과제도 많습니다 국권 침탈에 맞서 싸운 농민군 참여자를 독립 유공자로 서훈하고 우리나라 민주주의의 출발점이 된 동학 농민혁명의 정신을 헌법 전문에 담아야 합니다 [신순철/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장 : 이 사건이 헌법 전문에 실려서 한국 근대 민주주의의 출발점이었다는 사실을 인정받아야 하고… ] 반란으로 치부됐던 동학농민혁명의 역사를 바로잡는데 100여 년의 시간이 걸렸습니다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의 명예 회복을 위해 이들을 서훈에서 배제하고 있는 국가보훈처의 내규 개정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습니다 (영상취재 : 소재균 JTV) JTV 하원호 ☞더 자세한 정보 #SBS뉴스 #동학농민 #세계기록유산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SBS 뉴스 라이브 : ,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이메일: sbs8news@sbs co kr 문자: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인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