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백 억 들인 전통시장 화재알림시설 효과 있나 / 안동MBC
2019/10/29 16:34:07 작성자 : 손은민 ◀ANC▶ 서문시장 화재 기억나시죠? 전통시장에 불이 나면 대형 화재가 되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정부가 수백억 원을 들여 전국 모든 시장에 화재 알림 시설을 설치하고 있지만, 효과가 없을 것이란 지적이 나옵니다 보도에 손은민 기자입니다 ◀END▶ ◀VCR▶ 2016년 11월, 서문시장 화재 지난해 10월, 중구 번개시장 화재 모든 가게가 문을 닫은 한밤중에 불이 나 시장 전체가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정부는 대형 사고로 번지는 시장 화재를 막기 위해 2022년까지 전국 모든 전통시장에 화재 알림 시설을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화재를 빠르게 알려 초기 진압의 황금시간을 확보하고 피해 확산을 막겠다는 취지입니다 지난해와 올해 투입된 국비는 310억 원 대구시도 자체 예산 36억 원을 들여 14개 전통시장, 4천 500여 개 점포에 화재 알림 시설을 설치하고 있습니다 (S/U) "점포마다 달린 감지기가 연기나 열을 포착하면, 이렇게 특정 장소에 설치된 수신기와 속보기로 신호를 보내고, 이 속보기가 점포 주인에게 화재 알림 문자를 보내는 방식입니다 " 일부 상가의 경우, 작동법을 몰라 전원을 꺼둔 채 방치하고 있습니다 기계만 설치해 놓고 교육이나 관리는 전혀 안 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SYN▶ A 씨/○○○시장 상인 "꺼져 있어?" (네, 이거 모르셨죠?) 몰랐어" 수동 방식의 경우 소방서에 신고하려면 알림을 받은 사람이 직접 속보기 버튼을 눌러야 해 실효성이 없다는 비판도 나왔습니다 ◀SYN▶ B 씨/○○○시장 상인 (불났는데 여기 다시 와서 어떻게 누르세요?) "그러니까 전화로 전화로 (119 신고) 하잖아" 일부 전문가들은, 119로 자동 신고가 되더라도 피해를 막는 데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말합니다 확산 속도가 워낙 빠르고 진화가 어려운 시장 화재 특성상, 사후 대응보다는 화재 징후를 미리 포착해서 막는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INT▶ 이일무 연구팀장 /한국전기기술인협회 전기기술연구원 "(2016년 서문시장 화재 때도) 300m 안에 소방시설이 충분히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화재가 많이 번졌고, 스프링클러까지 작동한 것을 확인했는데도 피해 범위가 상당히 큰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누설 전류, 누전, 이런 부분들을 미리 감지해서 미리 대비할 수 있게 하는 그런 시스템을 " 정부가 설치하는 화재 알림 시설이 돈은 돈대로 쓰고 정작 화재를 막지 못하는 무용지물이 되지는 않을까 기대보다는 우려가 큽니다 MBC뉴스 손은민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