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계②] "풀 것 다 풀었지만"…서울 주택시장 연착륙 "글쎄"_SK broadband 서울뉴스

[연계②] "풀 것 다 풀었지만"…서울 주택시장 연착륙 "글쎄"_SK broadband 서울뉴스

#서울뉴스 #btv뉴스 #SK브로드밴드 [B tv 서울뉴스 김대우 기자] [기사내용] 박종화 앵커) 앞서 보신 정부의 규제 완화와 관련해 풀 수 있는 규제는 다 풀었다는 게 부동산시장의 반응입니다 그렇지만 올해 서울의 주택시장이 연착륙하지는 않을 거란 주장이 있는데요 전문가들은 금리와 심리적 요인 등을 그 원인으로 내놓고 있습니다 이 소식은 김대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가 서울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규제지역을 해제한 것은 주택시장 연착륙 등을 위해서입니다 침체기를 맞은 주택시장을 살려보겠다는 취지입니다 부동산시장의 평가는 "풀 것은 다 풀었다"입니다 그러나 올해 서울의 주택시장이 안정화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집값이 더 떨어질 것이라는 심리적 요인이 강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 [김준환ㅣ서울디지털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 "지금 (부동산) 시장의 참여자들은 집값이 하락할 것이다, 작년에 20~30% 떨어진 지역이 많잖아요 그런데 앞으로도 집값이 더 떨어질 것이다, 지금이 저점이 아니다 그러면 언제까지 떨어지냐, 최소한 올해 말까지는 오르지 않고 떨어질 것이라는 두려움이 있는 거예요 " 대출금리가 너무 높고 수도권에 공급되는 신규 물량이 많다는 점도 원인 가운데 하나로 제시됩니다 금리가 확 내려가기 전까지는 집을 사는 것을 꺼려 할 것이 분명하고, 경기와 인천에서 새 아파트 입주가 시작하면 서울에는 매물이 늘어날 것이라는 이유에서입니다 [이영주ㅣ강서구 방화동] "아직까지는 (집값이) 떨어질 것 같아요 금리가 너무 많이 올라가니까, 금리가 올라가면 아무래도 그렇지 않겠어요 젊은 세대는 대출이 많으니까…" [송탁ㅣ회사원] "지금 당장은 (집을) 살 생각이 없고요 지금은 월세나 전세로 하고 있다가 1년이나 2년 정도 후에 기회를 노려볼 생각입니다 " 올 하반기쯤 서울의 주택시장이 침체기를 다소 극복할 것이라는 장밋빛 예측도 있습니다 그러나 극히 일부 지역, 그리고 아주 잠시일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한문도ㅣ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금융부동산학과 교수] "실제로 시장에 나서는 매수자들은 제한적일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금리 인상이 남아있고 현재 실수요자들의 매수심리가 살아나고 있지 않습니다 제가 볼 때에는 제한적으로 심리적 상승은 있을 수 있겠지만 대세 하락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라고 판단됩니다 " 때문에 정부가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올해 추가적인 규제 완화 정책을 내놓을 것이라는 것이 일부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그렇지만 집값 하락에 대한 걱정과 금리 문제 등이 해소되지 않는다면, 실효성이 그리 크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현재 서울 부동산시장의 반응입니다 Btv 뉴스 김대우입니다 (김대우 기자ㅣjrkim@sk com) (촬영편집ㅣ김한성 기자) (2023년 1월 21일 방송분) ▣ B tv 서울뉴스 기사 더보기 ▣ B tv 서울뉴스 제보하기 채널ID: 'btv서울제보' 추가하여 채팅 페이스북: 'SK broadband 서울방송' 검색하여 메시지 전송 전화: 1670-0035 ▣ 뉴스 시간 안내 [B tv 서울뉴스] 평일 7시 / 11시 / 15시 / 19시 / 21시 / 23시 [주간종합뉴스] 주말 7시 / 11시 / 15시 / 19시 / 24시 #도봉구_강북구_노원구_광진구_성동구_동대문구_서울중구_종로구_서대문구_강서구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