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자를 좋은 곳으로 천도하는 지노귀굿 길가름 길베 - 안양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연이궁 꽃대신 010-6625-2677 #Shorts

망자를 좋은 곳으로 천도하는 지노귀굿 길가름 길베 - 안양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연이궁 꽃대신 010-6625-2677 #Shorts

#망자를_좋은_곳으로_천도하는 #지노귀굿_길가름_길베 #점집추천 #점집후기 #안양점집 #안양점집추천 #안양시점집 #안양시점집추천 #점잘보는집 #살풀이굿 #재수굿 #진오귀굿 #연이궁 #꽃대신 #Shorts 연이궁 꽃대신 상담문의 : 010-6625-2677 상담위치 : 안양시 이재명 대통령 될 수 있나 - 연이궁 꽃대신의 확실한 예언 대운이 들어올때 징조 - 운이 바뀔때 - 대운이란 상문 부정풀이 상문살 직접 푸는 초강력 셀프 비방법 앞날이 창창한 자녀를 위하여 명다리 올리는 특별한 이유 안 좋은 터만 볼 줄 알아도 새는 금전 재물을 막을 수 있다 평생의 연인을 알아보는법 - 혼인 여탐굿 [촬영문의] 010-9768-1638 안녕하세요 “굿엔트”입니다! 우리 민족의 전통 신앙을 알리는 곳으로 민속신앙 선생님들의 무당 이야기와 국보신앙 세습에 대하여 바르게 소개합니다 항상 좋은 날 되세요! [굿엔트]네이버 [굿엔트]페이스북 [굿엔트]트위터 [굿엔트]카카오스토리 [굿엔트]스토리채널 길베 길[路]과 베[麻布]의 합성어로, 이승과 저승을 이어주는 길을 상징하는 긴 무명 또는 베 한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전국의 굿에서 두루 존재하는 무구이다 ‘질베’, ‘길베’, ‘다리베’, ‘길천’, ‘다리천’ 등으로 불린다 특히 망자를 좋은 곳으로 천도하는 오구굿에서 쓰이는 무구로, 이승과 저승을 매개하는 길[路] 또는 다리[橋]를 상징한다 길베는 만드는 무구는 아니다 폭 40~50㎝에 한필(40자) 길이의 무명과 베 자체이다 전라도, 동해안, 남해안에서는 흰 무명을 쓰는데, 서울, 황해도 등에서는 흰 무명과 함께 베를 사용한다 오구굿은 망자를 이승과 굿당에 초청하고(망자 청혼), 그 존재를 새롭게 변화시켜(망자 존재 변환), 좋은 곳으로 천도(망자 천도)하는 순차적 구조로 연행된다 이 중 망자 천도의 단계에서 길베를 이용한 굿거리들이 배치된다 서울 진오귀굿에서는 ‘베째’ 또는 ‘베가르기’라고 하고, 황해도에서는 ‘베가름’, ‘수왕천가름’, 동해안에서는 ‘길가름’, 남해안에서는 ‘길닦기’, 전라도에서는 ‘길닦음’ 이라고 부른다 굿을 통해 새로운 존재로 거듭난 망자를 좋은 곳으로 이동시키는 행위를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때의 길베는 이승에서 저승으로 연결된 길 또는 다리를 상징한다 길닦기의 연행은 보편적으로 길베를 양쪽에서 잡아 드리우고, 그 위에 망자의 영혼을 상징하는 것들을 얹어 길을 닦는 양상이다 전라도, 동해안, 남해안 등의 세습무의 굿에서는 질베 위를 닦는 형식, 망자의 넋을 상징하는 무구들을 이동시키는 형태로 이용한다면, 황해도, 서울 등 강신무의 굿에서는 위의 연행과 더불어 길베의 가운데를 조금 잘라낸 뒤 무당의 몸으로 완전히 갈라주는 형식으로 연행한다 요즈음에는 세습무권의 오구굿에서도 길닦음 후에 갈라주는 연행을 한다 서울에서는 먼저 흰 무명을 가르고, 나중에 베를 가른다 흰 무명은 이승다리를 상징하고, 베는 저승다리를 상징한다 그래서 이 둘을 차례로 가름으로 해서 이승과 저승의 경계를 나누는 것으로 여긴다 황해도의 경우는 사자다리, 시왕다리, 망자다리의 세 종류의 길베가 존재하여 차례로 길을 갈라주어야 한다 평안도의 다리굿은 유난히 길베가 많이 등장한다 사자다리, 망인다리, 조상다리, 시왕다리가 그것이다 동해안에서는 길베를 반야용선에 연결하여 뱃노래굿때 신이나 망자가 오는 길로서 이용하기도 한다 전라도에서는 연행자에 따라 고풀이의 고풀이천을 길베로 같이 쓰기도 한다 남해안에서는 길닦기 외에도 굿의 초반부에 망자를 청하여 집으로 들어오는 문넘기 때도 길베를 가족들이 펼쳐 들고 그 위에 신태집을 얹어 들어온다 육지의 길닦기에 해당되는 것이 제주도 시왕맞이 중 영게질(길)침이라 할 수 있다 망자의 저승길을 위해 체(저승사자)를 모시고, 이 체가 여러 장애가 되는 것들을 제거하고 다리를 놓는 것이 영게질침의 핵심이다 멍석에 댓가지를 이용하여 저승 12문을 만들고 진행하는 영게질침은 저승으로 가기 위한 장애가 되는 것들을 제거하고, 다리를 놓고, 인정을 걸어 망자의 저승행을 준비한다 영게질침 중 다리를 놓는 대목에서 흰 무명을 깔게 된다 육지에서 연행의 모습은 다르나 이승과 저승을 연결하는 다리[橋]로서 길베를 이용하고 있는 것은 공통적이다 굿:무당이 신을 청하고 환대하고 환송하는 과정으로 구성된 무속의례 넓은 뜻으로는 무당이 하는 굿 외에 호남·영남지역의 동신제(洞神祭)나 농악에서 징·꽹과리·장구 등의 풍물을 울리는 것을 ‘메굿’ 또는 ‘굿친다’고 하여 굿에 포함시킬 수도 있으나, 좁은 뜻에서는 무속의 제의에 국한하여 사용된다 제의에는 먼저 제의를 올려야 할 신앙대상으로서의 신, 이 신을 신앙하여 제의를 올리는 신도, 신과 신도의 사이에서 제의를 조직적으로 진행시켜야 할 전문적인 사제자(司祭者)로서의 무당이 있어야 한다 이 셋은 제의를 구성하는 일차적 요건으로, 이 중에서 어느 하나가 없어도 제의는 성립될 수 없다 무속의 제의는 규모에 따라 크게 ‘굿’과 ‘비손(또는 손빔, 비념)’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굿은 여러 명의 무당이 신에게 많은 제물을 올리고 재비(악공)의 무악반주에 맞추어 무복(巫服)을 입고 가무와 실연(實演)을 위주로 제의를 하는 것이고, 비손은 한 사람의 무당이 신에게 간소한 제물을 바치고 가무 없이 앉아서 축원을 위주로 하는 약식 제의이다 따라서 제의진행 때 서서 한다고 하여 전자를 ‘선굿’, 앉은 채로 한다고 하여 후자를 ‘앉은굿’이라 하기도 한다 동제인 ‘당굿’과 같이 규모가 큰 제의는 당연히 굿으로 진행되어야 하지만, 기자(祈子)·치병·재수발원 등의 제의는 비손이나 굿 어느 형식이든 가능하다 제의규모의 비중에 따라 비손과 굿 또는 ‘작은 굿’과 ‘큰 굿’, 어느 쪽이든 제의가 가능하다 영역닫기굿의 역사 굿에 관한 기록은 거의 없어 그 역사를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 문헌으로 전하는 가장 오래된 종교적 제의로는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전하는 부여의 영고(迎鼓), 고구려의 동맹(東盟), 예의 무천(舞天) 등과 같은 제천의식이 있으나, 오늘날의 무당굿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무당에 관한 직접적인 기록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전하는 남해왕조(南海王條)의 것으로 여기에서 신라 제2대 남해왕은 차차웅으로 불렸는데 이는 방언으로 무당의 뜻이었다고 하고, 남해왕이 시조묘를 세워 친누이 동생 아로(阿老)로 하여금 제사를 주관하게 했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고구려에서도 무당이 유리왕의 득병 원인을 알아내고 낫게 한 기록이 보인다 그러나 당시의 구체적인 제의 내용은 알 수 없다 『고려사』에는 무격을 모아 기우제를 지낸 기록이 자주 보이는데, 굿에 관한 가장 직접적인 기록은 이규보(李奎報)의 『동국이상국집』에 수록되어 있는 장시 「노무편 老巫篇」에 나타난다 즉, 무당이 신이 들려 공수를 내리고 도무(蹈舞)하는 등의 굿의 묘사는 오늘날 중부지역의 무속과 상통하고 있어, 적어도 고려시대에는 무속의 제의체제가 갖추어졌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무당이 점을 치고 병을 고친 기록이 남아 있는 삼국시대에도 굿을 했으리라고 추정되고, 고고학자료에서 오늘날 무당의 방울과 비교되는 제의용 방울이 출토된 것으로 미루어 본다면, 굿의 역사는 신석기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굿의 종류와 목적 굿의 종류는 규모에 따른 대소의 형태문제와는 달리 그 목적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현재 전국에서 행해지는 굿을 목적에 따라 분류하면, 첫째 무당 자신의 신굿인 무신제(巫神祭), 둘째 민가의 개별적 제의인 가제(家祭), 셋째 마을 공동의 제의인 동제의 세 가지로 대별할 수 있는데, 이를 다시 세분하면 다음과 같다 1 무신제 이 굿은 무당 자신의 굿으로 강신제(降神祭)와 봄·가을에 주기적으로 하는 축신제(祝神祭)가 있다 강신제는 성무자(成巫者)가 자신에게 내린 신을 받아 무당이 되는 성무의례(成巫儀禮)로서, 내림굿·신굿·명두굿·하직굿 등으로 불린다 그리고 축신제는 해가 바뀔 때마다 신의 영험을 주기적으로 재생시켜 무당의 영험력을 강화시키는 제의로, 진적·꽃맞이굿·단풍맞이굿·대택굿·신령굿·신질바르는굿(제주도) 등이 있다 2 가제 민가에서 가족의 안녕과 행운을 빌기 위해 하는 굿으로, 생전제의(生前祭儀)와 사후제의(死後祭儀)로 나눌 수 있다 생전제의는 산 사람의 길복을 추구하려는 목적으로 행해지고, 사후제의는 죽은 이의 넋을 천도(薦度)하는 것이 공통된 목적이다 생전제의는 또 몇 가지로 분류된다 ① 기자·육아기원제의(祈子育兒祈願祭儀):대개 삼신(또는 지앙, 제왕)과 칠성에게 아기 갖기를 원하거나 아기가 무병하게 성장하기를 비는 내용으로서, 겜심바침·지앙맞이·삼제왕풀이·삼신풀이·불도맞이·칠성제(七星祭) 등이 있다 ② 치병기원제의(治病祈願祭儀):치병을 목적으로 하는 제의로는 병굿이나 푸닥거리가 일반적이고 여기에 영장치기·산거리·중천굿·명두굿 등이 있는데, 특정한 병을 치료하기 위한 굿으로는 천연두를 퇴치하기 위한 별상굿·손풀이·마누라배송, 안질을 예방치료하려는 맹인굿, 미친병을 치료하는 광인굿·두린굿 등이 있다 ③ 혼인축원제의:결혼 전날 아침에 조상에게 혼사를 고하고 성혼(成婚) 후의 행복을 기원하는 굿으로, 서울지역의 ‘여탐’과 호남지역의 ‘근원손’이 있다 ④ 가옥신축(또는 이사)제의:새 집을 짓거나 이사를 가면 성주맞이 또는 성주풀이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