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의 기원 008/1--7강 중간정리/불교 1000년, 유교 500년, 가톨릭 200년, 개신교 겨우 100년/그리스-로마배경으로 성경읽기의 필요성

기독교의 기원 008/1--7강 중간정리/불교 1000년, 유교 500년, 가톨릭 200년, 개신교 겨우 100년/그리스-로마배경으로 성경읽기의 필요성

008 1-7강 중간정리. 한국사회는 다양한 종교전통을 가지고 있다. 불교 천년, 유교 오 백 년, 가톨릭 이 백 년, 개신교 백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개신교는 이제 100년이 넘어가는 시점에서 빛과 소금의 역할을 많이 상실하고 있다. 가톨릭을 비롯한 기독교의 변화와 갱신은 성서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필요로 한다. 그리스-로마 배경에서 기독교를 연구하는 것은 이런 정체된 기독교의 신학과 사상을 바꿀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과점이다. 이 이야기의 전체 개요와 저자 소개는 아래와 같으니 참고하십시오.(☆별표가 있는 부분이 오늘 강의 부분입니다) I. 들어가는 말 II. 그리스-로마 종교와 신약성서에 대한 연구방법과 동향 A. 연구방법 B. 간략한 국내 연구동향 C. 간략한 해외 연구동향 III. 그리스-로마 배경 A. 알렉산더 대왕과 그리스 세계관의 전파 1. 알렉산더 대왕의 지중해연안 제패와 세계 제국의 성립 2. 헬라어의 보급과 그리스 문학의 전파 (『일리아스』와 『오뒷세이아』 등) B. 그리스-로마 사회에서의 유대교 C. 그리스-로마 세계 속에서의 초기 그리스도교 15 D. 그리스-로마 배경 하에서의 성서읽기의 예들 ☆E. 요약 IV. 그리스-로마 종교 개론 A. 그리스 종교의 특징 B. 로마 종교의 특징 C. 그리스-로마 종교의 성립 D. 연구방법과 범위, 자료 E. 요약 V. 호메로스의 신들(gods)-『일리아스』와 『오뒷세이아』를 중심으로 A. 호메로스 신들(gods)의 특징 B. 호메로스와 그리스-로마 세계 C. 호메로스와 신약성서 D. 요약 VI. 호메로스의 신들과 그리스-로마 희생제의 A. 뛰시아(Thysia) 희생제의에 대한 정의 B. 호메로스의 서사시에 반영된 뛰시아 희생제의의 특징 C. 신약성서에서의 뛰시아 희생제의 D. 요약 VII. 헤시오도스와 영웅숭배 A. 헤시오도스가 전하는 그리스인의 창세기 B. 영웅숭배(Hero Cult) C. 신약성서와 영웅숭배 D. 요약 VIII. 로마의 미뜨라 제의와 로마황제숭배 A. 미뜨라 제의 B. 황제 숭배 C. 요약 IX. 밀의종교1: 디오니소스 제의와 오피즘(Orphism) A. 디오니소스 제의의 기원과 특징 B. 오피즘의 기원과 특징 C. 디오니소스 제의와 오피즘과 그리스도교 D. 요약 X. 밀의종교2: 엘레우시스와 위대한 어머니 신(The Great Mother) A. 엘레우시스 밀의의 기원과 특징 B. 위대한 어머니 신: 키벨레 밀의의 기원과 특징 C. 엘레우시스와 키벨레 제의, 그리고 그리스도교 D. 요약 XI. 이시스(Isis)와 이집트 밀의종교들 A. 이집트 밀의종교의 특징 B. 황금 당나귀에 묘사된 이시스 제의의 특징 C. 이시스 제의와 오시리스 제의와 그리스도교 D. 요약 XII. 그리스의 철학적인 종교 A. 철학적인 종교의 등장 배경 B. 다신론과 철학적인 단일신론 C.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철학적인 종교 D. 그리스-로마의 철학적인 종교와 태양숭배 E. 요약 XIII. 플라톤의 철학적인 종교 A. 플라톤의 영혼과 종말론 B. 플라톤의 우주와 신 C. 플라톤의 『법률』에 나타난 종교 D. 요약 XIV. 디오니소스의 제의를 통해서 본 요한복음서의 성찬(요 6:51​-59) A. 요한복음 6장과 성찬 B. 디오니소스의 특징 C. 디오니소스 제의와 요한복음 6장의 성찬 D. 요약 XV. 오뒷세우스의 변모(16.166-224; 299-303)가 예수의 변모(눅9:28​-36)에 끼친 영향 A. 학자들의 연구에 대한 간략한 고찰 B. 예수와 오뒷세우스의 변모 사이에 있는 모방(미메시스) C. 요약 XVI. 미메시스 비평으로 살펴본 사도행전의 기적적인 탈출과 사울의 저항-사도행전 12:6~7, 16:25~26, 22:14를 중심으로- A. 에우리피데스와 미메시스 비평 B. 디오니소스 제의와 그리스도교 C. 디오니소스와 사도행전 12:6~7, 16:25~26, 22:14 1. 기적적인 탈출(행 12:6-7; 16:25-26) 2. 신의 뜻에 저항하는 바울과 펜테우스 D. 요약 XVII. 요한복음서의 예수의 수난과 에우리피데스의 『박카이』의 디오니소스의 수난에 대한 미메시스 비평 A. 에우리피데스의 『박카이』에 묘사된 디오니소스 B. 에우리피데스의 『박카이』를 통해서 본 요한복음서의 예수 C. 공관복음서와 비교한 요한복음 예수 수난의 독특성 D. 『박카이』를 통해서 본 예수의 수난 E. 요약 XVIII. 고린도전서에 나타난 그레코-로만의 공동 식사-뛰시아 희생제의로 살펴본 그리스도교의 성찬- A. 선행 연구와의 비교 B. 그레코-로만의 식사관습과 뛰시아 희생제의 1. 그레코-로만 식사관습 C. 고린도전서에 나타난 뛰시아 제의와 공동식사 151 1. 고린도교회의 우상에게 바친 고기와 뛰시아 제의(고전 8-10장) 2. 그레코-로만의 신성한 식사로 살펴 본 주의 만찬(고전 11:17​-34) D. 요약 XIX. 1세기 팔레스틴에 영향을 주었던 고대 로마법의 역사와 내용 A. 로마법의 개론적인 역사와 내용 1. 왕정 시대 2. 공화정 시대 3. 제정(원수정) 시대 B. 1-2세기 팔레스틴의 로마법 C. 로마의 혼인법과 신약성서의 일부일처 혼인에 대한 예 XX. 나가는 말 강사소개 조재형 (disciples.cho@gmail.com) 학력 대일 고등학교 졸업 그리스도대학교 신학과 신학전공(B. A) 연세대 연합신학대학원 신학석사(Th. M) 미국 Harding School of Theology, 문학석사(M.A in Ministry) 미국 Chicago Theological Seminary, 목회학 석사(M. Div) 미국 Claremont Graduate University, 철학박사(Ph. D) 학위논문 “마태복음서의 율법관: 안식일법과 정결법 단락을 중심으로” (Th. M) “The Johannine Eucharist in the Light of Greco-Roman Religion” (Ph. D) 주요저서 『초기 그리스도교와 영지주의』. 서울: 동연, 2020. 『그리스-로마종교와 신약성서』. 서울: 부크크, 2018. 주요 논문 “요한복음의 도마와 몸의 부활에 대한 논쟁.” 「기독교신학논총」 (2020.04) “요한복음의 이사야서 인용에 대한 상호텍스트성 연구.” 「신약논단」 (2019.09) “The Sabbath Law Controversy between the Matthean Community and Formative Judaism (Matt 11:28-12:14 and 24:20)” Canon&Culture (2017.10) “고대 영지 사상이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기독론에 끼친 영향- 신약성서의 영지주의적 본문을 중심으로” 「신학사상」 (2017.9) “A Postcolonial Interpretation of Matthew 28:18–20” 「기독교신학논총」 (2017.07) “고대 영지 사상이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신론'(新論)에 끼친 영향 - 나그함마디 문서와 신약성서의 영지주의적 본문을 중심으로” 「신학연구」 (2016.12) “The Body and Theology of Julian of Norwich” 「기독교신학논총」 (2016.07) “알몸으로 빠져나간 청년과 영혼의 여행(막 14:51-52)” 「신학사상」 (2016.3) “영지주의 사상의 관점에서 살펴본 고린도전서 15장 51절의 다양한 이문에 대한 연구” 「신약논단」 (2014.12) “고대 영지주의 사상의 관점에서 바라본 요한복음 6장의 ‘살’(σάρξ)” 「신학연구」 (2014.06) “Making Apologies of the Epistle to Diognetus: Social Formation of the Text” 「기독교신학논총」 (2014.07) “Reflection on Methods of Theology” 「복음과 교회」 (2014.05) “The Christology of Romans in the light of ΠΙΣΤΙΣ ̓ΙΗΣΟΥ ΧΡΙΣΤΟΥ (Rom 3:22-26)” Restoration Quarterly (2014.01) “영지사상에서 살펴본 고린도후서에 나오는 바울의 적대자” 「신약논단」 (2013.06) 주요 활동 한국신약학회, 한국기독교학회 정회원 한국신약학회 회계 주요 경력 케이씨(그리스도) 대학교 강사 미주 감리교신학대학교, 한신대학교, 그리스도대학교, 한서대학교, 서울기독대학교 시간강사 역임 등촌중학교 운영위원회 위원장 역임 아시안제자회(NAPAD) 청소년 사역목사 역임 템플 한인 그리스도의 교회 교육목사 역임 나성영락한국학교 교감 역임 구하리 그리스도의 교회 담임전도자 역임 육군학사장교 중위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