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상병’ 확산에 출하 앞두고 매몰…과수 농가 비상 / KBS뉴스(News)
전국의 배나 사과 재배지를 중심으로 치료법이 없어 과수에 치명적인 '화상병'이 확산하면서 농가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이 병에 걸렸다 하면 인근의 과수까지 통째로 파묻어야 하는데, 소비 기피까지 나타나면서 농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김선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푸르러야 할 과수 재배 지역이 온통 누런 흙빛으로 변했습니다 밭은 텅 비었습니다 쓰러져 있는 지지대 흙에 파묻혀 썩어가는 과일들만 이곳이 과수원이었음을 짐작게 합니다 과수에 치명적인 '화상병'으로 매몰처리 된 면적이 이 마을 한 곳만 약 50만 제곱미터에 이릅니다 출하를 앞둔 싱싱한 풋사과도 매몰을 피할 수 없습니다 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 발병 농장 반경 100m 이내 사과나 배나무는 모조리 태워 땅에 묻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과수 농민 : "한 10년 정도 됐어요 소득 막 볼 때 이렇게 되니 환장하는 거죠 "] 이러다 보니 수확을 앞두고 준비했던 포장용 상자들은 써보지도 못한 채 창고에 쌓여있고 농기계들도 그대로 방치돼 있습니다 [과수 농민 : "다 묻고 나니까 또 이런 자재가 남아서 이놈을 또 어떻게 처리하나 "]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소비자들까지 막연한 두려움을 보이면서 반품 등 2차 피해까지 겪고 있습니다 ['화상병' 방역 관계자 : "(반경) 100m 매몰지를 정해서 묻고 있는데 먹어도 되는 걸 가지고 자꾸 얘길 하니까 그 부분이 어려움이 많습니다 "] 화상병은 과실 성분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이렇게 따서 먹어도 인체에 해가 전혀 없습니다 발병에 대한 정확한 원인 규명도, 대책 마련도 아직 요원한 가운데, 피해 면적이 갈수록 커져 농민들의 속이 타들어 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선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