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늦지 않아"...서울 'AI 인재 만 명' 육성 / YTN

"한국, 늦지 않아"...서울 'AI 인재 만 명' 육성 / YTN

특정 서비스 위한 전용 AI 프로그램, 시장 확대 카플란 "생성형AI 진보 정점…활용법 선도가 관건" 서울, AI 7대 전략 발표 "AI 인재 연 1만 명 육성" 양재동 ’AI 테크시티’ 조성…전략산업 융복합 유도 [앵커] '챗GPT'에 이어 '딥시크'까지 나오면서, 우리나라가 생성형 인공지능, AI 개발에 뒤처졌다는 위기감이 큰데요 서울시가 AI가 만들 미래에 대비해 AI 인재 만 명 육성을 목표로 한 지원 확대와 대규모 단지 조성 등 7대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상표 출원 업무를 돕는 변리사 전용 AI입니다 수많은 기존 상표와 이미지를 단 1분 만에 확인해 유사도 순으로 정리합니다 24살 동갑내기 친구 둘이 8개월 만에 개발했는데, 이미 변리사 3백 명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김규민 / 아이어플라이 대표 :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쓰면) 기존에는 코드로 모든 예외 사항을 처리해야 했던 문제가, 이제는 자연어를 입력해도 굉장히 능동적으로 이제 커버가 가능해져서 AI 개발 자체가 굉장히 쉬워졌다…] 생성형 AI 후발주자 한국이 AI 시대에 살아남을까, 방법을 찾는 'AI 서울 콘퍼런스'에서, AI 석학, 카플란 교수는 생성형 AI가 이미 정점에 가깝고 한국은 늦지 않았다며, 관건은 '활용법'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제리 카플란 / 스탠퍼드대학 교수 : 나는 한국이 이 분야의 후발주자란 것을 걱정하지 않습니다 / (결국) AI 시스템으로 어떻게 최고의 성과를 낼 수 있는지 전문가가 되는 사람이 더 생산적이 될 것이고, 그들이 미래에 찾는 이가 많은 사람이 될 것입니다 ] 서울시도 AI 인재 양성과 산업 융복합에 미래가 있다고 보고 7대 핵심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연간 AI 인재 만 명 육성을 목표로 이공계 석사 장학금을 신설하고 대학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이와 함께 양재동에 27만㎡ 규모의 이른바 AI 테크시티를 조성해 다른 전략 산업과의 융복합을 유도할 계획입니다 [오세훈 / 서울시장 : 우리의 사업 기회로 어떻게 만들어 낼 것이냐, 쉽게 얘기해서 지금 선발 주자인 팔란티어 같은 기업들이 우리의 대한민국에서 얼마나 많이 만들어져서 수익을 창출해 낼 거냐? 여기에 오히려 더 관심을 가지는 게…] 또, 앞으로 2년간 AI 산업에 5천억 원을 투입해, 민간 투자의 마중물로 삼겠다고 밝혔습니다 YTN 김현아입니다 YTN 김현아 (kimhaha@ytn co 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 co kr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