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의 80배…도심 곳곳서 새어 나오는 메탄 어쩌나 / SBS 8뉴스

온실가스의 80배…도심 곳곳서 새어 나오는 메탄 어쩌나 / SBS 8뉴스

〈앵커〉 이산화탄소에 이어 제2의 온실가스인 메탄 문제, 집중적으로 짚어보고 있습니다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실은 온실가스 효과가 80배 이상 높은데 사람들이 잘 몰라서, 혹은 실수로 배출되는 양이 적지 않습니다 우리 주변에도 그 현장이 있다는데요 장세만 기후환경전문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도심 하수관을 특수 카메라로 찍었습니다 맨홀 뚜껑이 열린 작은 틈으로 쉴 새 없이 뿜어져 나오는 기체, 메탄입니다 하수 내 유기물이 분해하면서 생긴 메탄인데, 5m 거리에서 잰 농도가 16만 PPb, 가까이서는 불이 붙을 정도입니다 [주재원/서울대 환경계획연구소 책임연구원 : 실제 맨홀 근처에서 나오는 메탄은 거의 100만 PPb 이상일 것이라고 추정됩니다 실수로 거기에 스파크나 불을 붙였을 때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 쓰레기를 땅속에 묻어 처리하는 수도권 매립지 쓰레기 분해 과정에서 발생한 메탄 량이 단일 사업장으로는 전국 최대 규모입니다 쓰레기에서 나온 메탄을 흡입하기 위해 설치된 포집정입니다 이 곳, 수도권 매립지에만 모두 1천200여 개의 포집정이 설치됐습니다 이렇게 흡입된 메탄은 파이프를 통해 발전소로 보낸 뒤 전기생산에 쓰입니다 [정석우/수도권매립지공사 탄소사업처장 : 포집한 메탄가스는 우리가 수입하는 CNG나 LNG와 동일한 성분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생산된 전기는 6만 2천 가구의 난방전기에 사용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 하지만, 이런 활용 사례는 극히 드뭅니다 액화천연가스, LNG 발전소 주변의 메탄 측정 농도는 인근 주택가보다 300 PPb 이상 높게 나옵니다 또 다른 LNG 발전소 내부를 촬영해 보니, 노후 설비에서 메탄이 새 나오는 게 뚜렷합니다 축산 분뇨 가스로 전기를 만드는 시설에서도 역시 메탄 누출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누출된 양이 정부 통계로 연간 420만 톤이지만, 추정치여서 실제로 얼마나 새는지는 제대로 조사되지 않고 있습니다 [정수종/서울대 환경계획학과 교수 : (외부 특정 지점에서 저희가 잰 측정치가) 발전량의 누출 보고량 통계치의 한 50% 정도가 잡혀 있습니다 (발전소) 안으로 들어갔을 때는 엄청나게 큰 숫자가 나올 수밖에 없는 거죠 ] 누출 메탄을 막으면 온실 효과도 줄이고, 생산 시설의 에너지 효율도 높일 수 있습니다 정부뿐 아니라 기업들도 적극 나서야 하는 이유입니다 (영상취재 : 이찬수·김용우, 영상편집 : 이소영, VJ : 김형진) ☞더 자세한 정보 ☞[기후 탐사 리포트 1 5℃ 마지막 경고] 기사 모아보기 #SBS뉴스 #8뉴스 #기후탐사리포트1 5℃마지막경고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SBS 뉴스 라이브 : ,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이메일: sbs8news@sbs co kr 문자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