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해양신도시 개발 방향 확정…“68% 공공개발” | KBS 201013 방송](https://poortechguy.com/image/3gxofoB0Vu8.webp)
마산해양신도시 개발 방향 확정…“68% 공공개발” | KBS 201013 방송
[앵커] 마산 앞바다를 메워 만든 64만㎡ 인공섬, '마산해양신도시' 개발 방향을 놓고 공공성이냐, 수익성이냐 십 년 넘게 논란이 끊이지 않았죠 창원시가 1년 반 동안 연구 용역과 시민 의견 수렴을 거쳐 공공성과 수익성을 모두 잡겠다는 전략으로 최종 개발 방향을 확정했습니다 김소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창원시 마산 앞바다에 축구장 90여 개 크기의 인공섬, '마산해양신도시'입니다 지난 2004년 국책 사업인 가포신항 건설 과정에서 나온 준설토로 마산만을 메워 만들어졌습니다 공정률은 84%, 지난해 말 매립이 마무리됐고, 도로와 상하수도 같은 기반 공사만 남았습니다 공공성이냐 수익성이냐를 놓고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인공섬에 대한 개발 방향이 확정됐습니다 사업 시작 17년 만입니다 전체 68%인 43만 ㎡는 국비와 지방비를 투입한 공공 개발 구역으로, 나머지 32% 20만 ㎡는 민간 자본을 통한 복합개발 구역으로 만듭니다 [인터뷰] 황인식/창원시정연구원 도시정책연구실장 "스마트 도시가 지속적으로 자연을 벗삼아 가능한 그런 공간을 만들어 보자는 게 저희들의 개발방향이었습니다 " 공공구역에는 국립 현대미술관 분관, 4차 산업과 연계한 연구소, 혁신타운 등을 유치합니다 장기적으로는 돝섬과 연결된 보도교를 만들고, 호안 둘레 3 15km를 잇는 수변 산책로와 모래사장을 추진합니다 민자 유치 구역에는 3,400억 원대 사업비 회수를 위한 국제회의장과 호텔, 관광복합시설 같은 상업시설이 들어섭니다 창원시는 주거시설을 허용하되, 아파트 건립은 최소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허성무/창원시장 "최소 제안을 한 사람한테 최대의 가점을 주고, 최대의 아파트를 짓겠다는 사람한테는 최대의 페널티를 줘서 탈락하게 만들겠다는 겁니다 " 창원시는 다음 달부터 민간 사업자 공모에 들어간 뒤 내년 실시 협약을 맺고, 오는 2022년 공공 부분 공사에 착수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촬영기자:지승환 [앵커] 앞서 보신 것처럼, 창원시가 마산해양신도시의 68%를 공공개발 형태로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취재기자와 함께 이번 개발 계획의 배경과 남은 과제를 짚어 봅니다 김소영 기자 나왔습니다 김 기자, 마산해양신도시는 창원시가 그동안 수차례 민간사업자 공모에 나섰지만, 번번이 무산됐는데요 어떤 이유였습니까? [김소영 기자] 네, 최초 사업 승인이 난 2003년 12월 당시 옛 마산시는 이곳에 9천 가구 규모의 아파트 단지를 지을 계획이었습니다 하지만, 공공재인 바다를 메워 만든 인공섬에 수익성 위주의 아파트 건립에 시민들 반발이 컸는데요 이 같은 논란은 통합 창원시 출범 뒤에도 계속됐습니다 창원시는 지난 2015년부터 3차례 걸쳐 복합개발을 위한 민간사업자를 공모했습니다 첫 공모에서는 사업자가 대규모 아파트 건립에만 치중해 난개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고, 이후에도 낮은 회사 신용도 등으로 최종 사업자를 선정하지 못했습니다 [앵커] 창원시가 밝힌 마산해양신도시 개발 방향은 이전과 비교해 어떤 점이 다른 건가요? [김소영 기자] 앞선 사업시행자 공모에서는 64만 ㎡ 인공섬 전체를 민간에 매각하는 방식이었죠 하지만 이번에 확정된 개발안은 전체 32% 약 20만 ㎡만 민간자본을 활용한 복합 개발로 추진하겠다는 겁니다, 즉, 나머지 68%는 공공개발 형태로 추진하겠다는 거죠 십여 년 넘게 되풀이돼 온 논란 속에서 수익성과 공공성의 절충점을 찾겠다는 뜻으로 분석됩니다 가장 관심을 끌었던 것이 주거시설의 규모였는데요 창원시는 아파트 건립 자체를 불허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주거시설을 원천 불허할 경우 민간사업자의 수익성이 악화하고, 밤에는 사람이 모두 빠져나가는 이른바 '유령도시'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컸기 때문인데요 다만 민간사업자 공모 때 아파트 가구 수가 많을수록 벌점을 주는 방식으로 아파트 규모를 최소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이번 청사진을 현실화하려면 추가로 막대한 사업비가 들어갈 것 같은데요 재원 조달 방안은 어떻습니까? [김소영 기자] 창원시는 지난 2010년부터 수차례 정부에 해양신도시와 관련한 국비 지원을 요청했지만, 정부는 직접 지원은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해양신도시가 국책 사업과 연계해 만들어진 만큼, 정부도 일부 간접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는데요 이 때문에 창원시는 공공 부분에서 최대한 정부 공모 사업을 유치해 국비를 확보한다는 계획입니다 또, 시 재정에 부담을 주고 있는 해양신도시 사업비 3,400억 원에 대해 20만 ㎡ 땅을 민간사업자에게 분양해 이를 회수하겠다는 전략입니다 문제는, 세계적인 경기 침체 속에서 과연 투자할 민간사업자가 있겠느냐는 겁니다 창원시는 이미 4~5군데 기업체가 투자를 검토하고 있고, 투자 규모도 2조 원에서 3조 원이 될 것이라며 민자 유치에 자신감을 드러냈습니다 이 같은 개발 방향이 실제로 실현될 수 있을지, 당장 다음 달 시작될 민간사업자 공모 과정을 보면 어느 정도 윤곽이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