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elections of 2022 Gugak Artist Lab] #14 새로이 스며들다(Newly Sleeping in)

[The Selections of 2022 Gugak Artist Lab] #14 새로이 스며들다(Newly Sleeping in)

✨2022 〈국악아티스트 랩〉 선정작 시청 설문조사 이벤트✨ 12월 5일부터 9일까지 최초 공개하는 2022 〈국악아티스트 랩〉 선정작 26편에 대한 설문조사(1분 소요)에 참여해주세요 우수 설문자 10분에게 국립국악원 '판굿모빌키트'를 선물로 드립니다🎁 🍀설문조사 기간: 2022 12 18 (일) 23시 까지 🍀당첨자 발표: 12 23 (금) 당첨자 개별 통보 🔽설문조사 참여하기🔽 ---------- 국립국악원 '국악아티스트 랩' 사업은 전통예술인들을 지원하고, 전통예술 기반의 온라인 콘텐츠 제작활동을 진작하기 위해 마련된 사업입니다 권역별, 외국인 선발을 통해 전통예술의 영역을 확장하고, 가능성을 탐색하며 온라인 공간에서의 감각적이고, 창조적인 활동을 위한 영상 교육, 제작을 지원하는 '국악 크리에이터 양성' 프로젝트 입니다 ---------- [작품소개/Introduction] - 곡 해설 Song descriptions - 국악은 결코 어려운 음악이 아니다 I’mpact는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국악’을 추구한다 〈새로이 스며들다〉는 민요 〈군밤타령〉의 선율을 주제로 작곡한 곡으로, 익숙한 민요 선율로 대중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창작 선율로 곡의 뒷부분을 이어나가면서 대금, 가야금, 해금의 음색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새로이 스며들다〉가 사람들의 일상에 스며들어,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동안 우리의 곡을 들으며 자신의 일을 즐기는 사람들이 되길 바란다 Traditional Korean music is not necessarily a difficult genre of music Our team, I’mpact, has a goal of creating traditional Korean music everyone can enjoy This song Saeloi Seumyeodeulda, or “newly seeping in” in English, has its roots in a traditional Korean folksong called gunbam talyeong, or roasted chestnut song in English The song is intended to draw attention from audiences with familiar melodies found in traditional Korean folksongs The latter parts of the song are mostly filled with newly created melodies played in traditional instruments like daegum, gayageum, and haegeum We hope that this song will seep into people’s everyday lives and give them a boost so that they can enjoy their work - 영상 해설 Video descriptions - 이 영상은 서울 시민들의 인터뷰와 노래로 시작한다 민요 〈군밤타령〉을 소재로 작곡한 것은 이 민요가 대중에게 가장 친숙할 것이라고 예상했기 때문인데, 실제 촬영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이 민요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상은 야외 배경의 연주로 시작되고, 이내 곡의 분위기가 전환되는 시점에서 공간 또한 실내로 전환된다 실내 장면에서는 도예가, 무용수, 그리고 레스토랑 셰프가 일상 속에서 곡을 들으며 자신의 일을 즐기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는 I’mpact의 음악이 사람들에게 스며든 것을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더 많은 국악이 대중 속에 스며들기를 바라며 This video begins with interviews with people living in Seoul The reason we borrowed from the song gunbam talyeong is that we figured people would become more familiar with the song And we were right Many of the interviewees knew the song The performance starts in an outdoor setting and moves into an indoor setting as the song takes on a new vibe In the indoor setting are a ceramic artist, a dancer, and a restaurant chef enjoying their work while listening to music in their everyday lives This is an expression of our hope that our music will seep into people’s lives [출연자/Cast] 최나리(가야금), 김소희(대금), 이채은(해금), 안지수(작곡·건반), I'mpact(기획·연출), 김동우(촬영·편집) 정은총(도예), 김태훈(안무·무용), 권규범(셰프), 윤지언, 홍진혁, 홍윤지, 홍홍기, 김선애(인터뷰이), 권지한, 김미들, 박진영, 설우진, 이가원, 이다현, 유병조, 오주연(노래) Gayageum by Choi Nari Daegeum by Kim Sohee Haegeum by Lee Chaeeun Composed & Piano by Ahn Jisoo Planned & Directed by I'mpact Filmed & Edited by Kim Dongwoo Ceramics by Jeong Eunchong Choreograph & Dance by Kim Taehoon Kwon Kyubeom (Chef) Yoon Jieon, Hong Jinhyeok, Hong Yunji, Hong Honggi, Kim Seonae (Interviewees) Kwon Jihan, Kim middle, Park Jinyoung, Seol Woojin, Lee Gawon, Lee Dahyun, Ryu Byeongjo, Oh Juyeon (Singers) [촬영장소/Filmed at]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 374 〈The374〉 (인터뷰 및 셰프 촬영 장소) 46-5, Heolleung-ro 571-gil, Gangnam-gu, Seoul, Republic of Korea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 346 〈H orm〉 (인터뷰 및 실내연주 촬영 장소) 30-1, Heolleung-ro 571-gil, Gangnam-gu, Seoul, Republic of Korea 서울특별시 성동구 뚝섬로 273 〈서울숲〉 (야외연주 촬영 장소) 273, Ttukseom-ro, Seongdong-gu, Seoul, Republic of Korea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나루로8길 11 〈디더블제이〉 (무용 촬영 장소) 11, Gwangnaru-ro 8-gil, Seongdong-gu, Seoul, Republic of Korea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도예 촬영 장소) 52, Ewhayeodae-gil, Seodaemun-gu, Seoul, Republic of Korea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현동 146 〈대현문화공원〉 (노래 촬영 장소) 146, Daehyeon-dong, Seodaemun-gu, Seoul, Republic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