엇갈린 한미의 시선…'사드비용' 논란 증폭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엇갈린 한미의 시선…'사드비용' 논란 증폭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엇갈린 한미의 시선…'사드비용' 논란 증폭 [뉴스리뷰] [앵커] 더욱 증폭된 한미의 사드비용 논란 초점은 결국 방위비 분담금 증액 문제로 모아집니다 다시 말해, 미국 측의 재협상 발언은 이르면 연말로 다가온 방위비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려는 포석이라는 관측인데요 이준삼 기자입니다 [기자] 한미의 사드비용 논란은 언뜻 양국 입장이 첨예하게 엇갈리는 듯 보입니다 하지만 공통분모도 보입니다 양측의 시선 모두 궁극적으로는 방위비 분담금 문제를 향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논란이 된 맥매스터 미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사드 재협상 발언은 결국 동맹들의 적절한 방위비 분담으로 귀결됐습니다 국방부도 사드비용 재협상은 없다고 못박았지만, 사드가 향후 방위비 인상요인이 될 가능성은 열어뒀습니다 [문상균 / 국방부 대변인] "(주한미군의) 한반도 방위에 대한 기여도, 우리의 재정부담 능력과 한반도 안보상황, 또 주한미군의 안정적 주둔여건 보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당장 사드 비용을 청구하지는 않겠지만, 이르면 연말 시작될 방위비 협상에서 분담금 증액을 강하게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합니다 작년 우리측 분담금은 9천400억 원으로, 여기에 이른바 사드 비용이 얹혀진다면 분담금은 수년 내에 대폭 늘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더욱 큰 문제는 한미가 사드협상 과정에서 사드와 방위비 분담금 인상을 놓고 모종의 주고받기를 했는지 여부라는 지적도 적지 않습니다 만약 사드 비용을 내는 게 적절하단 점을 한국에 통보했다는 트럼프 대통령 발언이 사실이라면 협상과정에서 한국의 입지는 크게 좁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일각에서는 밀실협상 논란이 본격화될 경우, 한미관계도 큰 상처를 입을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됩니다 연합뉴스TV 이준삼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 4409(제보), 카톡/라인 jebo23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