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앤이슈] 與, 서울·부산시장 공천 가닥...국민의힘 "염치 없다" 반발 / YTN

[뉴스앤이슈] 與, 서울·부산시장 공천 가닥...국민의힘 "염치 없다" 반발 / YTN

■ 진행 : 김정아 앵커 ■ 출연 : 최영일 시사평론가, 이종근 시사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오늘의 정치권 소식 최영일, 이종근 두 분 시사평론가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더불어민주당이 내년 4월 서울시장과 부산시장 재보궐선거에 후보를 낼 것인가가 관심이었는데요 결국 당 지도부가 후보를 내는 쪽으로 결론을 내고 전 당원 투표에 부치기로 했습니다 투표 결과에 따라서 당 소속 공직자의 잘못으로 열리는 선거에 후보를 내지 않는다, 이런 현재의 당헌당규를 바꿀 수도 있다는 건데요 야당의 비판은 거셉니다 관련 영상 먼저 보고 오시겠습니다 투표 결과까지 봐야겠습니다마는 결국은 민주당이 서울시장, 부산시장 보궐선거에 후보 내는 수순으로 간다, 이렇게 봐야 될까요? [이종근] 그렇습니다 지금 시기의 문제였지 이것은 아마도 후보를 낼 것이다라는 전망은 정치권에서 계속 되지 않았겠습니까? 왜냐하면 그냥 서울시장, 부산시장만 만약에 재보궐이 있다고 한다면 고민의 여지가 더 있겠으나 그로부터 약 1년 후에 바로 대선이 이어지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대선을 걱정해서라도 아마 후보를 낼 것이다라는 예상은 했습니다 그런데 두 가지가 초점이죠 하나는 시기적으로 굉장히 빨랐다는 거예요 그러니까 이거 더 이상 좌고우면하지 말자, 빨리 결정을 짓자라는 그런 생각이었을 테고 두 번째는 전 당원 투표라는 형식을 또다시 빌렸다 이건 사실 당헌을 개정하는 것은 당무위원회나 혹은 중앙위원회에서 가능합니다 그런데 전당원투표는 의향을 묻는 것이지 그게 찬성이 많다고 해서 그 즉시 가결되는 건 아니거든요 당원들이 이렇게 많이 찬성을 하므로 그다음에 중앙위를 열어서 당헌대로 의결을 해서 거치는 겁니다 즉, 전 당원 투표라는 형식, 그러니까 책임을 당무회의나 중앙위에 지지 않고 그냥 당원들에게 책임을 돌리는 형태를 또 한 번 취했다 이 두 가지가 지금 초점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앵커] 결국 명분을 확보하겠다, 이런 입장인 것 같은데요 현행 민주당 당헌 96조 2항 보면 보면 당 소속 선출직 공직자가 부정부패 등 중대한 잘못으로 직위를 상실해서 재보궐선거를 실시하게 됐을 때 후보자를 추천하지 않는다 정치의 개혁을 위해서 5년 전에 만든 당헌당규입니다 이렇게 바꾸게 되면 민주당도 비판을 알기 때문에 부담이 클 텐데요 [최영일] 비판을 감수하겠다는 거죠 비판이 없을 수는 없죠 당연히 있죠 그런데 야당 쪽에서 비판이 우선 나올 텐데 야당은 사실 선거로 친다면 이해 당사자죠 민주당이 후보를 내지 않으면 어느 쪽이 당선이 유리한가 이건 금방 계산이 나오거든요 물론 그래도 당선될지는 지켜봐야 되고요 사실 시나리오는 세 개 정도가 있었습니다 정말 원칙을 지킨다 후보를 내지 않고 민주당은 지켜만 본다 두 번째는 뭐냐 하면 당헌을 바꿔서라도 결국은 후보를 내고 그 후보가 시민 선택을 받도록 한다 세 번째도 있었어요 민주당은 안 내는데 제3 시민후보를 내는 거예요 민주당 소속이 아닌 사실은 지난 총선에서도 유사한 모습을 많이 봐왔습니다 그래서 그러면 시민 후보는 누가 될 수 있을 것이냐 어떤 방식이 가능하겠느냐 그런데 사실은 정공법입니다 우회 전략이 아니라 정면돌파하겠다 이건 사실은 2022년 대선을 바라본다면 내년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제1도 (중략)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모바일앱, social@ytn co 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