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 없는 고래체험관....고민 깊어지는 '고래특구' / KBS  2024.02.04.

고래 없는 고래체험관....고민 깊어지는 '고래특구' / KBS 2024.02.04.

장생포에는 전국 유일의 고래문화특구가 있죠 직접 고래를 만나볼 수 있는 프로그램도 있지만, 장기적으로 유지하기는 힘들어 보이는 만큼 새로운 콘텐츠 개발 등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김영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돌고래들이 수면 위로 뛰어오르며 모습을 드러냅니다 지켜보는 관람객들 사이에서 박수와 탄성이 쏟아집니다 [장지성/울산 동구 : "선생님들이 막 손짓을 했는데 갑자기 물속에서 튀어 나와서 점프도 하고(신기했어요 )"] 전국 유일의 고래문화특구, 장생포 고래생태체험관에서 볼 수 있는 고래생태설명횝니다 고래생태체험관에는 현재 4마리의 돌고래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 돌고래들이 사망하면, 이런 설명회 등은 볼 수 없습니다 올해부터 법이 개정돼 전시를 위해 고래를 신규로 보유하는 건 금지되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장기적인 체험관 운영 방안 등을 새로 마련해야 하지만 쉽지 않습니다 [홍상원/남구도시관리공단 고래문화특구 관광활성화 전담팀장 : "미디어 고래, 디지털 고래를 구현한다거나 또는 기존에 고래생태체험관을 대형 아쿠아리움으로 개편해서 운영하는 방안 등 다양한 아이디어를 모으고 있고… "] 배를 타고 나가 실제 바다 위를 수영하는 고래를 만나 볼 수 있는 고래바다여행선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고래를 만나는 비율은 2019년 20%에서 지난해 5%로 크게 줄었습니다 공단은 고래의 먹이인 오징어 등의 이동 경로가 바뀐 영향으로 보고 있습니다 관계기관과 협의해 여행선 항로를 변경하려고 하지만 쉽지 않습니다 전국 유일의 고래문화특구로서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콘텐츠 개발 등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김영록입니다 촬영기자:김용삼/그래픽:박서은 ▣ KBS 기사 원문보기 :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 이메일 : kbs1234@kbs co kr #고래특구 #장생포 #체험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