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라이더] 코로나19 안정되자 간호사들 사직 압박...이유는? / YTN

[뉴스라이더] 코로나19 안정되자 간호사들 사직 압박...이유는? / YTN

■ 진행 : 김대근 앵커 ■ 출연 : 최훈화 대한간호협회 정책전문위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라이더]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코로나19가 대유행하던 시절, 일선 현장에서 연일 사투를 벌이던 의료인력들의 모습은 국민들에게 큰 감동을 줬습니다 하지만 상황이 안정되면서 당시 최전선에서 희생한 간호사들이 지금은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다, 이런 주장이 제기됐는데요 어떤 상황인지 대한간호협회 최훈화 정책전문위원과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위원님, 안녕하세요 [최훈화] 안녕하세요 [앵커] 코로나19 재유행이 안정화되는 상황인데 이러면서요 간호사들이 오히려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다, 이런 얘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코로나19가 한창 유행일 때 최전선에서 고생을 했는데 지금은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다, 이게 무슨 얘기인가요? [최훈화] 지난 5월 정부가 코로나19 환자 감소하자 재정 축소를 위해서 병상 감축을 명령합니다 그러자 코로나19 전담병원 간호사들은 일단 잉여인력 취급을 받게 되는 거죠, 병상이 감소하다 보니까 그래서 기존 부서로 돌아가야 되는데 기존 부서에서는 이미 다른 인력이 근무를 하고 있기 때문에 돌아가지 못하고 매일 부서를 바꿔가면서 다른 부서, 인력이 부족한 부서로 도움을 주는 간호사가 되고 만 겁니다 심지어 기존 부서로 복귀하지 못한 간호사 중 60% 이상이 개인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일방적으로 가게 되고 또 무급휴직이나 권고사직 압박까지 받았다는 응답이 있습니다 코로나19 환자가 급증할 때 간호사들은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병원의 필요에 의해서 일방적으로 배치됐다가 환자가 감소하자 내가 근무했던 부서가 아닌 다른 병동에 도움을 주러 가는 파견형태로 보내지는 상황입니다 [앵커] 온라인으로도 실태 조사를 하셨다고 들었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볼까요? 어떤 상황입니까? [최훈화] 대한간호협회가 지난 9월 코로나19 전담병원에서 환자 치료에 참여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시행했는데요 인력이 없는 타부서 배치나 그리고 여러 병동을 돌며 헬퍼의 역할을 했다는 응답이 전체 응답의 75%가 응답을 했습니다 그리고 이 헬퍼라는 건 타부서, 즉 내가 신경외과 경력 간호사인데 코로나19 병동에서 근무를 한 후 거기에 환자가 감소하자 갑자기 소아과, 내과, 정형외과 매일 다르게 그렇게 병동으로 배치가 되는 거죠 이렇게 아침에 출근하면 오늘은 어디로 가라 이렇게 당일 배치되는 병동을 알게 되고 새로운 병동에 대한 어떤 사전교육도 없이 이렇게 환자 간호 업무를 맡게 됐다는 응답이 70%였습니다 [앵커] 타부서로 배정을 받은 경우에 또 물어봤더니 그 응답이 지금 한 70%가 나왔다 [최훈화] 사전 교육도 없이 일방적으로 배치가 됐다 [앵커] 지금 말씀을 들어보면 기존에 오랫동안 일했던 병동이 아니라 , 본인이 기존에 일했던 병동이 아니라 갑자기 새로운 병동으로 이동을 하는 경우도 있고 아니면 지금 말씀하신 것처럼 매일매일 이렇게 일하는 부서가 바뀌는 경우도 있고 그렇다는 거잖아요 그런 경우에 좀 우려되는 문제가 있습니까? [최훈화] 실질적으로 대한간호협회에 대형병원 3년차 간호사라고 제보가 왔는데요 매일매일 새로운 부서에 가서 물건이 어디 있는지도 모르고 소아과 근무했던 간호사가 정형외과 가라면 환자의 특성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접근하는 간호 방법도 다릅니다 그럴 경우에 본인은 거기에 (중략)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