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상환 유예 더?…이자 유예는 손질 가능성 / 연합뉴스TV (YonhapnewsTV)](https://poortechguy.com/image/FWKXwFf1AZs.webp)
코로나 상환 유예 더?…이자 유예는 손질 가능성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코로나 상환 유예 더?…이자 유예는 손질 가능성 [앵커] 당초 이달 말 끝날 예정이던 코로나 피해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대상 대출 만기 및 이자 상환 유예 조치의 연장이 유력시됩니다 불가피한 측면은 있는데 원리금 상환이 안 되다 보니 얼마나 부실이 났는지 파악 자체가 안돼 이대로 둬도 되는지 문제도 부각되고 있습니다 조성미 기자입니다 [기자] 석 달 이상 은행 이자 연체가 기준인 부실채권의 비율은 지난 2분기 말 0 54%, 4분기째 역대 최저였습니다 코로나 사태로 어려워진 중소기업, 소상공인이 넘치는 현실과 잘 맞지 않는데, 그 원인은 크게 두 가지, 계속되는 저금리, 그리고 코로나 금융 지원책입니다 지난해 4월 코로나 피해 층 금융 지원이 시작된 뒤, 만기 상환이나 납입이 유예된 원리금은 204조 원이 넘습니다 금융당국이 9월 말 끝나는 이 조치의 연장 여부를 추석 전 밝히겠다지만 코로나 4차 대유행 속에 연장은 사실상 불가피합니다 문제는 이자를 안 받다 보니 어느 채무자가 더 어려워졌고 갚을 능력을 상실했는지 알 수조차 없다는 점입니다 공식 부실채권 비율은 역대 최저인데 실제 대출 건전성은 오히려 약화했을 것이란 지적이 나옵니다 [정규철 / KDI 경제전망실장] "이자 상환이 부실을 가려내는 중요한 지표인데 지금은 유예를 해주고 있기 때문에 우리 경제에 얼마나 부실 채권이 쌓여있는지 어느 채권이 부실한지 가려내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 지원 연장 압박을 받는 금융당국도 보완책의 필요성을 거론합니다 [고승범 / 금융위원장] "(최근의 금융지원이) 우리 경제의 성장잠재력을 훼손시킨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꼭 필요한 곳에 꼭 필요한 만큼의 자금이 지원되도록 효과성을 제고하겠습니다 " 한계기업을 가려낼 최소한의 잣대인 이자 상환 유예만이라도 일부 중단할 가능성이 거론되는 이유입니다 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