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노동개혁·정치혁신 시각차 '팽팽' / YTN

여야, 노동개혁·정치혁신 시각차 '팽팽' / YTN

■ 최창렬, 용인대학교 교양학부 정치학 교수 / 허성우, 국가디자인연구소 이사장 [앵커]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선거제도 개편이 정국의 최대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회의원 정수 증원 논란과 비례대표 의원 비율 등으로 여야가 팽팽하게 맞서고 있어 협상이 그리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 박근혜 정부의고 하반기 핵심 과제로 꼽은 노동개혁에도 여야의 시각차가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습니다 정국 소식을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최창렬 용인대 교수, 그리고 허성우 국가디자인연구소 이사장 자리 함께 했습니다 먼저 우리 최 교수께 질문을 드리겠습니다 야당이 도입하자고 주장한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놓고 상당히 또 여당은 반발을 하고 있는데 권역별 비례대표제가 무엇인지 시청자 여러분께 간단하게 설명을 해 주시죠 [인터뷰] 권역별로 전국을 6개로 나누겠다라는 얘기거든요 호남지역, 영남지역, 경기지역, 강원지역 이렇게 6군데로 나누고 권역별로 정당 득표에 비례해서 일단 의원 수를 정해 놓는 것입니다, 정당별로 말이요 그다음에 비례대표를 정해 놓고 그런 다음에 지역구를 대표하고 비례대표를 맞춰나가는 게 권역별 비례대표 제도입니다 그러니까 일단 이 제도가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는 것은요 물론 새누리당에서는 의원 수 증원에 반대하고 있습니다마는 권역별 비례대표를 의원 수를 정해놨기 때문에 영남에서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이 당선될 수 있고요 또 호남에서도 새누리당 의원이 당선될 수 있다, 지역구도가 타파될 수 있다는 얘기거든요 지금 그럴 수밖에 없는 게 1인 2표,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거든요 한 표는 정당에 투표를 하고 한 표는 정당에게 투표를 하는 제도란 말이죠 권역별로 나누는 게 일단 가능하기 때문에요 현재 의원 수는 호남이나 영남에서 일당 우위체제가 계속 되고 있는 게 아니겠습니까? 소선거구제에다가 단순 다수대표제이기 때문에 상당의 사표가 많이 나올 수 있다는 거예요 그러나 일단 정당에 투표하는 것은 비례적으로 반영된다는 거죠 그래서 영남이나 호남에서 양당의 의원들이 될 수가 있기 때문에 지역구도 안화에 필요하다, 이래서 대체적으로는 긍정적인 반응을 받고 있는 것이죠 [앵커] 최 교수님께서 권역별 비례대표제에 대해서 계략적으로 설명을 해 주셨는데요 여당에서는 권역별 비례대 (중략)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모바일앱, 8585@ytn co 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