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이슈토크]경남에서도 7월부터 ′자치경찰제′ 의미와 효과는?

[헬로이슈토크]경남에서도 7월부터 ′자치경찰제′ 의미와 효과는?

도내 이슈를 심층분석하는 헬로 이슈토크 시작합니다 약 두 달 뒤인 오늘 7월부터 자치경찰제가 전국적으로 시행됩니다 시행에 앞서 지자체마다 도입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는데요, 여전히 도민들은 자치경찰제의 정확한 의미와 효과 인식이 부족하고, 세부적으로는 자치경찰위원회 구성에 유의사항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자세한 내용을 짚어보고, 도민들의 이해를 돕는 시간 가져봅니다 도움 말씀에 패널 두 분 모셨습니다 신상훈 경남도의원, 이재환 국민의힘 도당 대변인 반갑습니다 1 오는 7월부터 자치경찰제가 시행됩니다 최근 자치경찰제라는 명칭은 자주 등장해왔습니다 하지만 자세한 내용을 아는 분은 그리 많지 않은데요, 먼저 자치경찰제가 무엇인지 포괄적인 의미부터 알고 시작해야겠습니다 2 언론보도에서는 ‘경남형’ 자치경찰제라는 단어가 계속 언급이 됩니다 자치경찰제라는 명칭 속에 이미 지역적이다, 라는 의미가 있는데, 여기에서 경남형,이라고 하면 더욱 세부적이라는 의미인지, 아니면 경남만의 무언가를 고려한 제도 속에 장치가 있다는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3 여러 장점과 단점에 대한 의견이 있는데, 분명한 것은, 지역민의 치안에 변화가 생길 것이다, 라는 기대감입니다 두 분은 장점과 단점을 어떻게 분석하는지, 또 지역민 치안의 어떤 변화에 관심을 두고 있습니까? 4 여기서 생각해봐야 할 것이, 바로 자치경찰을 이끄는 시도 자치경찰위원회의 구성과 역할입니다 물론 목적성이 명확하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거든요 자치경찰을 지휘, 감독하는 시도 자치경찰위원회의 인사권에 대한 문제인데요, 왜 이견이 나오는 건가요? 5 지방분권과 지방자치의 실현에 또 하나의 징검돌을 놓는다고 볼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지역 주민들의 역할도 큽니다 올 7월 자치경찰제 시행을 앞두고 지역민에게 중요한 의무, 무엇이라 볼 수 있을까요? 6 어찌보면, 주민과 더 가깝게 지역을 더 안전하고 행복하게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들겠다는 자치경찰제에, 구더기 무서워 장을 못 담그는 , 일종의 노파심이 지나치다, 라는 말도 나와요 위원회를 꾸릴 때 이런 목소리들을 경청할 필요가 있어 보이는데요? 오늘은 신상훈 경남도의원, 이재환 국민의힘 도당 대변인과 함께, 오늘 7월 시행할 자치경찰제의 경남 연착륙을 위해, 자세한 내용과 자치경찰위원회의 구성에 고려할 사항을 분석해봤습니다 지역 특성에 맞는 주민밀착형 치안서비스라는 장점과, 경찰과 지자체의 갈등, 지방 토호세력과 자치경찰의 유착에 대한 우려라는 단점이, 자치경찰제 시행을 두달 앞두고 계속해서 공론화되고 있습니다 이런 목소리가 오는 7월 본격 시행 이후 시행착오를 줄이는데, 큰 역할을 하길 바라며, 오늘 헬로 이슈토크는 여기서 마무리하겠습니다 함께해 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