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 동결시 훈련 축소"...북한·관련국 설득이 관건 / YTN

"핵 동결시 훈련 축소"...북한·관련국 설득이 관건 / YTN

[앵커] 이번 문정인 특보의 발언은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한 유화적인 대북 제스처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이런 선의를 북한이 받아들일지, 그리고 북한과의 대화 조건이 각기 다른 관련국들을 어떻게 설득시켜야 할 지도 넘어야 할 장애물입니다 김주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미 두 나라가 연례적으로 벌이고 있는 합동군사연습은 순수 방어 개념의 훈련입니다 그럼에도 북한이 북침을 위한 사전 훈련이라며 예민하게 반응하자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끌어내기 위한 유인책으로 지난 1992년 한 차례 훈련을 중단한 적이 있습니다 당시 미국은 훈련의 일시적 중단 명분으로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과 북미 합의 등을 내세웠습니다 그렇지만 당시 북한은 이 선의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북한은 국제원자력기구, IAEA 사찰단의 접근을 막고 핵확산금지조약, NPT를 탈퇴하겠다고 위협했습니다 문정인 특보가 밝힌 미국의 한반도 전략자산과 한미 합동군사훈련 규모를 축소할 할 수 있다는 것도 우리의 선의를 전제로 한 발언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문정인 / 통일외교안보 특보 : 우리 입장에서 천안함, 연평도 (도발이) 있었으니까 그럴 수 있지만, 이런 것들이 한반도 긴장을 증폭시키고 북한 대응을 강화시키는 측면이 있습니다 ] 문 특보는 물론 "북한이 핵·미사일 활동을 중단하면 "이라는 조건을 달았습니다 관건은 이런 제안을 한다고 하더라도 북한이 대화에 나설지 미지수라는 점입니다 북한의 대화 조건은 비핵화가 아닌 전 세계 핵보유국들이 한 자리에 모여 핵 군축을 논의하자는 겁니다 미국의 대화 조건은 비핵화입니다 그것도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핵폐기' 이른바 CVID 원칙에 따라야 한다는 겁니다 중국의 대화 조건은 쌍궤병행(비핵화 프로세스와 북한과의 평화협정 협상)과 쌍중단(북한 핵·미사일 도발과 한미 연합군사훈련 중단)의 동시 이행입니다 이렇듯 북한 핵을 둘러싼 해법이 관련국마다 다르기 때문에 실제 대화 테이블에 마주 앉기에는 많은 장애물을 건너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YTN 김주환입니다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모바일앱, 8585@ytn co 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