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란의 카불…난민·여성 인권 문제도 대두 / KBS 2021.08.16.](https://poortechguy.com/image/MOx8GKDeHqw.webp)
혼란의 카불…난민·여성 인권 문제도 대두 / KBS 2021.08.16.
그럼 아프가니스탄 지금 상황은 어떤지, 국제사회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중동과 미국, 중국을 차례로 연결해 알아봅니다 먼저, 중동지국으로 갑니다 우수경 특파원 앞서 잠시 전해드렸지만 지금 아프가니스탄은 혼돈 그 자체죠? [기자] 수도 카불 상황은 점점 악화되고 있습니다 민항기 운항이 중단되면서 사람들은 이제 군용기 활주로에 몰려들어 올라타는 등 위험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보시는 건 수도 카불에 있는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 모습입니다 활주로마다 비행기에 타려는 사람들로 대혼란입니다 공포에 휩싸인 사람들은 어젯밤부터 끝없이 몰려들었습니다 통제 불능 상황이 되면서 현재 공항 통제는 미군 등 군이 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카불 시내도 혼란스럽습니다 안전지대라고 여겨졌던 카불마저 함락되자 사람들은 다시 피란길에 올랐습니다 이들이 갈 곳은 국경 너머 다른 국가들밖에 없습니다 아프간과 국경을 접한 이란은 난민촌을 준비했다고 밝혔지만, 난민들은 막막하기만 합니다 [라크마툴라 쿠야쉬/아프간 난민 : "우리는 국경 넘어 (우즈베키스탄) 테르메스로 서둘러 왔습니다 모든 가족이 국경 너머에 남겨졌습니다 집, 직장 모든 걸 남겨두고 왔는데 뭘 해야 될지 모르겠습니다 "] [앵커] 이번에는 워싱턴 이정민 특파원, 미국과 탈레반이 20년을 끌어온 전쟁인데 미국이 체면을 크게 구기면서 끝나게 됐네요? [기자] 탈레반의 아프간 점령이 미군 철군보다 빨라 굴욕적으로 전장에서 물러나게 됐다, 미국 내부의 평가입니다 지난 2001년 수천 명의 목숨을 앗아간 9 11 테러 직후 미국이 배후로 지목한 알카에다 수장 오사마 빈 라덴에 탈레반이 은신처를 제공하고 미국의 신병 인도 요구도 거부하면서 전쟁이 시작됐었죠 처음엔 미국 쪽이 우세한 듯했지만 이후 장기전이 이어지며 아프간 측 17만 명, 미국과 동맹국에선 7천 4백여 명이 숨졌고, 투입된 전쟁 비용도 1조 달러에 이릅니다 미국이 다소 무리한 철군을 감행한 것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가 된 전쟁, 빨리 끝내야 한다는 바이든 대통령의 오랜 생각이 반영됐다고 합니다 [앵커] 철군에 대해 미국 여론도 긍정적이었잖아요? 그런데 막상 아프간이 탈레반에 넘어가니까 좀 다른 목소리도 나오는 것 같아요? [기자] 미국이 너무 탈레반을 얕잡아본 거 아니냐, 미국 정치권도 술렁이고 있습니다 당장 야당인 공화당은 정부의 정보력 부족이 참혹한 결과를 낳았다고 비난했는데요 바이든 정부는 탈레반의 아프간 점령이 예상보다 빨랐다며 오판을 일부 시인하면서도 철군 시점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지난해 탈레반과 평화협정으로 정해 놓은 거였다 반박했습니다 그러면서 이제 아프간은 스스로를 책임질 때고, 탈레반이 미국인만 안 건드리면 철군 계획은 변함없다고 못 박았습니다 [블링컨/미국 국무장관 : "9 11 테러에서 우리를 공격했던 사람들을 처리하겠다는 ▣ KBS 기사 원문보기 :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 이메일 : kbs1234@kbs co kr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미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