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안동] 안동댐 녹조 한 달째…‘가축분뇨가 원인’ / KBS  2023.09.11.

[여기는 안동] 안동댐 녹조 한 달째…‘가축분뇨가 원인’ / KBS 2023.09.11.

[앵커] 안동댐의 녹조가 한 달 넘게 지속되고 있습니다 온갖 장비와 기술을 동원해 저감 작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여전히 조류경보 '경계' 수준인데요, 이번 녹조의 원인으로 가축 분뇨가 지목되면서 오염원 차단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김지홍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초록빛 안동호 위로, 로봇이 떠다닙니다 녹조를 제거하는 자율주행 로봇입니다 수면 위와 공중에서는 드론이 녹조를 실시간으로 관측하고, 오염원이 어디인지도 추적합니다 [조혁진/K-water 안동권지사 물순환사업부장 : "9월 폭염이 이어지면서 녹조가 현재 점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저희가 녹조 제거 선박과 제거 장치들을 총력 투입해서… "] 녹조가 극심한 댐 상류인 도산서원과 주진교 사이 15㎞ 구간에는 대형 장비가 투입됐습니다 녹조 입자를 파괴하고 성장을 억제하는 녹조 수차와 나노 버블 시설입니다 지난 4일 예안교 일대에서 측정된 유해 남조류 세포 수는 ㎖당 4만 4천여 개로 한 달 내 계속된 작업에도 아직 30%밖에 없애지 못했습니다 댐 전역에 퍼진 녹조는 가장 극심했던 지난달보단 조금 나아졌지만, 여전히 조류경보 '경계' 수준입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이번 대규모 녹조의 원인을 가축 분뇨로 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댐 주변 축사 밀집 지역을 대상으로 인과 질소 유출 저감 기술을 보급할 계획입니다 [박일준/K-water 안동권지사장 : "안동댐이 낙동강 유역에 천백만 시민들이 먹고 사는 물입니다 안동댐을 중심으로 스마트 녹조 저감 실증사업을 대대적으로 하게 됐습니다 "] 환경당국은 도산서원과 주진교 등 녹조가 심한 구간에 대해 물놀이나 낚시, 수상 레포츠 활동 자제를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김지홍입니다 촬영기자:최동희 제10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 10·27 개막 제10회 21세기 인문가치포럼이 다음 달 27일부터 사흘간 안동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립니다 '인간다움, 우리는 누구인가'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포럼은 제10대 유네스코 사무총장 '이리나 보코바'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국내외 석학들이 대거 참석해 인간다움의 가치와 의미를 조명합니다 또 포럼 10년의 기록을 담은 특별 전시와, 국제인문도시회의, 청년포럼 등이 함께 개최되고 일반인들도 재미있게 인문을 접할 수 있는 공유 세션도 마련됩니다 예천군, 제2차 추경 7,506억 편성 예천군이 제2차 추가경정예산안 7,506억 원을 편성해 군의회에 제출했습니다 이번 추경 예산안은 본예산 6천951억 원에서 8% 증액된 것으로, 예천군의 예산이 7천억 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예천군은 신속한 집중호우 피해 복구를 위해 정부의 국고보조금 지원계획 확정 이전에 우선 시행할 수 있는 사업예산을 집중 편성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