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01. 31. [글로벌 pick] 이스라엘, 오미크론 정점 찍고 감소세
[EBS 글로벌 뉴스] 오늘 글로벌 픽 순서는 서진석 기자와 함께합니다 황대훈 기자 이스라엘, 오미크론 감소세 미국도 조금 감소하고 있다고 들었는데, 이스라엘도 마찬가지인 겁니까? 서진석 기자 그렇습니다 오미크론 변이가 출현하면서 확진자 수가 정점을 찍은 뒤, 코로나가 엔데믹, 즉 풍토병화 될 거란 전망이 계속 나오고 있는데요 미국과 이스라엘에서 이 같은 추세가 현실화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지난 14일 확진자가 80만 6천 명까지 급증해 정점을 찍었는데요 하지만 이날 이후 감소세로 접어들어 지난 29일 기준 확진자는 53만 명대까지 떨어졌습니다 이스라엘도 지난 22일엔 8만 5천 명이 확진되며 정점을 찍은 뒤 하락세로 전환했고요 현지 시간으로 어제 확진자 수는 5만 천여 명을 기록했습니다 이 같은 추세에 한스 클루주 세계보건기구 유럽사무소장은 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이 끝을 향해 가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황대훈 기자 조심스럽지만 긍정적인 소식인데, 확진자 수만큼 중요한 게 위·중증 환자 숫자 아니겠습니까? 이쪽 지표들은 어떻습니까? 서진석 기자 네, 신규 확진자 수, 입원 환자 수 그리고 사망자 수 등이 중요한 지표인데요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미국의 하루 평균 입원 환자 수는 29일 기준 14만 6천여 명인데요 16만 명대를 보였던 2주 전보다 5% 감소한 수치입니다 하지만 하루 평균 사망자 수는 2천 5백여 명을 기록해 2주 전보다 30% 가까이 급증했습니다 이스라엘도 비슷한 상황인데요 확진자 수는 줄었지만 중증 환자는 천 명대로 늘어나 지난해 2월 이후 처음으로 천 명을 넘어섰습니다 다만 감염병 전문가들은 이스라엘의 중증 환자 수는 조만간 감소세로 돌아설 거라고 진단하기도 했습니다 황대훈 기자 방금 이야기한 게 하루 평균 사망자 숫자가 2천500명으로 2주 전보다 늘었군요? 아직까지 낙관하기에는 어려운 수치들이 남아있는 것 같습니다 황대훈 기자 두 번째 소식 보죠 포르투갈 총선서 집권당의 승리가 전망 된다 어제 치러진 선거죠 어떻습니까? 서진석 기자 네, 현재까진 출구조사 결과만 나온 상황인데요 AP 통신 등에 따르면, 포르투갈 공영방송 RTP의 출구조사 결과, 집권당인 사회당이 37%에서 42% 표를 획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최대 35%를 득표한 걸로 전망되는 제1야당, 사회민주당에 앞서는 수치인데요 다만 다른 정당과 연정 없이도 법안을 통과할 수 있는 과반 지점을 확보할 수 있을지는 단정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번 선거 결과는 코로나 대유행으로 관광 수입이 감소한 포르투갈의 경제 상황이 반영됐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포르투갈은 2026년까지 유럽연합이 조성한 경제회복기금 187억 달러를 지원받아, 경제 회복을 노리고 있는데요 이를 위해서는 안정적 정부가 필요한 상황이라, 유권자들이 집권당에 표를 더 준 것이란 분석입니다 마르셀루 헤벨루 드소자 포르투갈 대통령은 앞서 "다가오는 미래는 고통스러운 코로나 대유행을 뒤로 하고, 국가 경제를 긴급히 재건하는 시기가 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황대훈 기자 마지막 소식 보죠 반크, 마텔사 욱일기 장난감 판매 막았다 민간외교단체죠, 또 어떤 결과를 냈습니까? 서진석 기자 네, 주로 한국의 역사 등을 해외에 알리는 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가 이번엔 미국의 유명 장난감 회사의 욱일기 형상 장난감을 출시하는 걸 막았단 소식입니다 반크에 따르면, 지난해 11월부터 장난감 회사 마텔사가 욱일기 모양이 들어간 레슬링 모형 장난감을 판매하려고 했는데요 반크는 이 소식을 접하고 마텔사에 "아시아인에게 욱일기는 미국인과 유럽인들에게 전범기로 알려진 '하켄크로이츠'와 같다"고 항의 서한을 보냈습니다 히틀러와 나치즘을 상징하는 하켄크로이츠를 상기시키며, 아이들이 해당 장난감을 가지고 논다면 잘못된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다고 지적한 건데요 결국 마텔사는 공식 성명을 내지는 않았지만, 해당 장난감을 주문한 고객들에게 "해당 제품의 출고가 취소됐다"고 공지했습니다 최근 해당 사이트를 확인해보니, 욱일기 문양의 장난감은 판매가 중단됐고, 대신 호랑이 줄무늬를 입힌 장난감이 출시된 상황입니다 황대훈 기자 반크의 이의 제기가 받아들여졌을 가능성이 높겠네요 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