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자원 활용으로 희토류 재탄생](https://poortechguy.com/image/RCvN-6KKCGk.webp)
폐자원 활용으로 희토류 재탄생
[아나운서] 희귀한 원소라는 뜻의 희토류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지만, 대부분이 중국에서 생산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런 가운데 폐자석을 재활용해 희토류를 재탄생시키는 기술이 개발돼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오지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각 내 함유량이 적은 희귀한 원소, 희토류 광통신과 휴대전화 등 IT분야를 비롯해 자동차와 정유, 가전제품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돼 '산업의 비타민'이라고 불립니다 전 세계 희토류 생산의 97%를 중국이 점유하고 있는 가운데, 폐자원을 재활용해 희토류를 추출하는 기술이 개발됐습니다 버려진 전자제품 등에서 나온 자석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자성을 없앤 뒤 분쇄합니다 여기에는 네오디뮴과 철, 붕소, 디스프로 등의 희소금속이 담겨 있습니다 네오디뮴은 kg당 250달러, 디스프로는 8천 달러나 하는 고가의 희토류입니다 분쇄된 자석과 마그네슘을 800℃에 달하는 용탕 안에 넣으면 약 2시간 후에 마그네슘 합금이 만들어집니다 [인터뷰 - 채홍준 연구원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재활용 네오디뮴을 활용해 네오디뮴 자석을 제조할 경우 기존의 순도가 높은 네오디뮴으로 제조된 자석과 비교해 보았을 때, 최대 자기 에너지 값이 약간 낮지만, 보자력 및 잔류자기특성은 기존의 자석과 동등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기존방식과 달리 모든 원소를 회수•재활용하기 때문에 공해물질이 전혀 배출되지 않는 친환경 기술로도 인정받고 있습니다 배출되는 폐기물의 총량을 최소화하는 순환형 산업시스템을 지향하는 것입니다 [인터뷰 - 김택수 본부장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자원이 없는 우리나라는 이러한 희토류를 재활용해서 꾸준하게 전방산업에 희토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게 되면 산업적으로 부가가치가 높아지고, 자원을 정치적, 영토적으로 연결하는 고리를 끊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겠죠 이번 기술로 소재의 자립도를 높여 앞으로 산업경쟁력 확보에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산업뉴스 오지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