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중앙의료원 건강매거진]중년여성이라면 꼭 알아야 할 갱년기증후군

[가톨릭중앙의료원 건강매거진]중년여성이라면 꼭 알아야 할 갱년기증후군

(1) 중년여성이라면 꼭 알아야 할 갱년기증후군 (2) 갱년기증후군이란? 폐경 전후로 생기는 여러 증상을 말하며 ‘폐경기증후군’ 또는 ‘폐경증후군’으로도 불립니다 여성의 평균 폐경 시기 49~51세 겉으로는 단지 생리가 멎는 것이지만 체내에서는 많은 변화가 일어나 여성 건강에 있어 큰 전환점을 맞게 되는 시기입니다 (3) 폐경 전후로 여성에겐 어떤 변화가? 폐경기가 되면 난소는 제 기능을 잃고 조그맣게 쪼그라들고 난소에서 만들어내던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estrogen)의 분비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생리적, 정신적으로 많은 변화가 일어납니다 (4) 갱년기증후군 초기 증상 하나의 증상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여러 증상의 집합체로 나타납니다 ① 신체적 자각증세: ∙ 월경이 불규칙해진다 ∙ 얼굴과 가슴 부위가 화끈거리는 열성홍조와 함께 식은땀이 난다 ∙ 심장이 두근거리고 불안과 초조함을 느낀다 ∙ 소변을 자주 보고 방광염, 요도염 증세가 나타난다 ∙ 성관계 시 불쾌감이나 통증을 느끼고 외음부의 가려움이 있다 ∙ 손가락, 팔목, 무릎, 발목 관절통과 관절 경직 등 원인 모를 전신 통증을 느낀다 ∙ 상복부의 팽만감과 체중이 증가된다 ∙ 여성호르몬 결핍으로 인한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② 정신적 변화: ∙ 괜히 불안을 느끼며 신경이 예민해진다 ∙ 수면 장애가 동반되며 생활력 감소가 온다 ∙ 우울감이나 고독감을 느낀다 ∙ 만사가 귀찮아지고 쉽게 피로감을 느낀다 (5) 갱년기증후군 후기 증상 지속적인 여성호르몬의 결핍으로 건강과 생명에 심각한 위험을 줄 수 있는 질환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① 심근허혈증 및 동맥경화증: 여성호르몬은 지질대사에 관여해 동맥경화증의 원인이 되는 총콜레스테롤과 저밀도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킵니다 폐경 10년 후, 여성에게서 심혈관 질환이나 뇌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② 골다공증: 폐경 후, 급격한 골밀도 감소로 인해 여성 대부분에서 다양한 정도의 골다공증을 보입니다 심한 경우 여러 부위의 골절을 유발, 이에 따른 합병증으로 인해 사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대퇴경부 골절인 경우 합병증으로 인해 1년 내의 사망률이 20%에 달하며 대부분 정상적인 생활로 회복이 불가능합니다 (6) 갱년기증후군 진단: 월경주기의 변화, 특징적인 안면홍조 여성호르몬 감소로 생길 수 있는 골다공증이나 심혈관 질환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정밀검사가 필요합니다 ∙ 간 기능 검사 ∙ 소변 내 칼슘량의 측정 ∙ 에스트로겐 검사 ∙ 혈중 콜레스테롤치 및 중성지방치 검사 ∙ 생식선 자극 호르몬(FSH)검사 ∙ 갑상선 검사 ∙ 자궁암 세포진 검사 및 골반 초음파 검사 ∙ 심전도 검사 ∙ 혈액 검사, 소변 검사 ∙ 골밀도 측정 ∙ 유방암 검사 ∙ AMH(난소나이 측정) 검사 (7) 갱년기증후군 치료법: 본인 몸 상태를 정확히 확인한 후 치료법을 결정합니다 호르몬 치료, 식사요법, 운동요법, 폐경으로 인한 질환 예방에 초점 호르몬 대체 치료를 하면 안면 홍조나 생식 기계 위축 증상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심혈관계 질환이나 골다공증 예방에도 도움이 되죠 우울증 같은 정신심리 증상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만약 갱년기증후군으로 진단받고 치료를 시작한 후라면 1년마다 치료 전에 받았던 기본적인 검사를 반복 시행하고, 증상에 따라 치료 지속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8) 갱년기증후군 예방TIP 01 평소 자신의 몸에 관심을 갖고 갱년기 증상이 나타나는지 살피기 02 금주, 금연, 충분한 수면 등의 생활습관 교정하기 03 균형 잡힌 식사와 꾸준한 운동을 통한 적절한 체중 유지하기 04 계속적인 사회활동이나 나만의 취미활동 찾기 05 자신의 감정과 우울감 등에 대해 가족과 자주 대화하기 06 증상이 심해지기 전에 전문의에게 상담받기 감수 ㅣ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여성센터 산부인과 김민정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