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식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34개

탄식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34개

탄식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탄식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34개] 1) 芝焚蕙嘆(지분혜탄): 지초가 불타니 혜초가 탄식한다는 뜻으로, 동류(同類)가 입은 재앙이 자기에게도 근심이 되는 것처럼 안타까워함 2) 亡國之恨(망국지한): 나라가 망하여 없어진 것에 대한 한(恨) 3) 破鏡之歎(파경지탄): 부부(夫婦) 사이의 영원(永遠)한 이별(離別)을 서러워 하는 탄식(歎息) 4) 麥秀之歎(맥수지탄): 맥수지탄(麥秀之嘆) 보리만 무성(茂盛)하게 자란 것을 탄식(歎息)함이라는 뜻으로, 고국의 멸망(滅亡)을 탄식(歎息)함 5) 環顧一世(환고일세): 온 세상을 빙 둘러본다는 뜻으로, 세상에 쓸 만한 사람이 없어 찾아 헤맴을 탄식하여 이르는 말 6) 鴇羽之嗟(보우지차): 느시 깃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백성이 전쟁터에 나가 있어 그 어버이를 봉양하지 못하는 슬픈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경≫에서 유래한다 7) 天之亡我(천지망아): 하늘이 나를 망쳤다는 뜻으로, 자기는 잘못이 없는데 저절로 망함을 탄식하여 이르는 말 8) 感慨無量(감개무량): 마음속에서 느끼는 감동이나 느낌이 끝이 없음 또는 그 감동이나 느낌 9) 慷慨之士(강개지사): 세상의 옳지 못한 일에 대하여 의분을 느끼고 탄식하는 사람 10) 雷歎(뇌탄): 탄식(歎息)하는 소리가 우레와 같다는 뜻으로, 크게 탄식(歎息)함 11) 晩時之歎(만시지탄): 때늦은 탄식이라는 뜻으로, 때가 이미 늦었거나 시기(기회)를 놓친 탄식을 이르는 말 12) 悔毒之歎(회독지탄): 독약을 마신 뒤에 누우치는 탄식이라는 뜻으로, 뉘우쳐도 이미 소용이 없는 것을 뉘우친다는 의미 13) 參商之歎(삼상지탄): 삼성(參星)과 상성(商星)이 서로 멀리 떨어져 있듯이, 두 사람이 멀리 헤어져 있어 만나기 어려운 것에 대(對)한 탄식(歎息) 14) 亡羊歎(망양탄): 갈림길이 매우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을 길이 없음을 탄식한다는 뜻으로, 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여서 한 갈래의 진리도 얻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15) 燕鴻之歎(연홍지탄): 제비와 고니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여름새인 제비와 겨울새인 기러기가 만나지 못하는 것처럼 길이 어긋나거나 서로 소식 없이 만나지 못함을 한탄하는 말 16) 麥秀之嘆(맥수지탄): 보리만 무성함을 보고 탄식한다는 뜻으로, 지나간 왕조에 대한 회상의 의미 17) 亡國之歎(망국지탄): 나라가 망함에 대(對)한 탄식(歎息) 18) 亡羊之嘆(망양지탄): 여러 갈래 길에서 양을 잃고 탄식(歎息)한다는 뜻으로, 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여서 한 갈래의 진리도 얻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19) 風樹之嘆(풍수지탄): 바람 맞는 나무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효도를 다하지 못하고 어버이를 여윈 자식의 슬픈 탄식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樹欲靜而風不止 子欲養而親不待] 20) 遺珠之歎(유주지탄): 버려진 구슬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마땅히 등용(登用)되어야 할 사람이 빠진 데 대한 탄식을 이르는 말 21) 黍離(서리): 나라가 멸망하여 옛 궁궐 터에는 기장만이 무성한 것을 탄식한다는 뜻으로, 세상의 영고성쇠가 무상함을 탄식하며 이르는 말 22) 積薪之歎(적신지탄): 적신지탄(積薪之嘆) 쌓이고 쌓인 섶나무의 탄식(歎息)이라는 뜻으로, 먼저 쌓인 섶나무는 항상(恒常) 아래에 있듯이 고참이 승진(昇進)하지 못하고 늘 아랫자리에 있음을 한탄(恨歎)함을 이르는 말 23) 望蜀之歎(망촉지탄): 촉(蜀) 땅을 얻고 싶어 하는 탄식(歎息ㆍ嘆息)이라는 뜻으로, 인간(人間)의 욕심(慾心)은 한이 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24) 鼓盆之痛(고분지통): 물동이를 두드리는 슬픔이라는 뜻으로, 아내가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 25) 麥秀黍油(맥수서유): 보리의 이삭과 기장의 윤기라는 뜻으로, 고국의 멸망(滅亡)을 탄식(歎息)함 26) 嗚呼痛哉(오호통재): ‘아, 비통하다’라는 뜻으로, 슬플 때나 탄식할 때 하는 말 27) 鶴鳴之歎(학명지탄): 학이 우는 탄식이라는 뜻으로, 벼슬하여 뜻을 펴지 못하고 야(野)에 묻혀있는 탄식을 이르는 말 28) 積薪之嘆(적신지탄): 섶나무를 쌓는 탄식이라는 뜻으로, 땔감을 쌓을 때 새로 해온 것을 늘 위에 있고, 먼저 해 온 것은 늘 아래에 눌려있듯이, 상급자로 승진하지 못하고 항상 남의 아랫자리에 머물러 있음을 한탄하는 말 29) 由我之歎(유아지탄) 30) 望洋之歎(망양지탄) 31) 黍離之歎(서리지탄) 32) 捲土重來(권토중래) 33) 脾肉之嘆(비육지탄): 넓적다리에 살이 찐 것을 탄식한다는 뜻으로, 촉(蜀)의 유비(劉備)가 오랫동안 말을 타지 않아 넓적다리에 살이 찐 것을 탄식한 고사로, 안일하게 허송세월을 보내고 있는 자신의 신세를 한탄한다는 의미 (三國志) 34) 亡羊之歎(망양지탄): 양을 잃어버리고 난 탄식이라는 뜻으로, 갈림길이 많아서 잃어버린 양을 찾을 수 없음을 한탄하는 의미인데, 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여서 한 갈래의 진리도 구하기 어려움을 비유하는 말 [Credits] Contents: Background music: Bensound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