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인터뷰] 4주간 특별방역…‘오미크론’ 변수? / KBS 2021.11.29.](https://poortechguy.com/image/VqI3WSOYxRA.webp)
[심층인터뷰] 4주간 특별방역…‘오미크론’ 변수? / KBS 2021.11.29.
[앵커] 이번 방역강화 조치의 핵심은 백신 접종과 재택치료의 확대입니다 추가 접종으로 확산세를 막을 수 있을지, 또 재택치료가 의료체계의 부담을 덜어주는 대책이 될 수 있을지 이재갑 한림대 감염내과 교수와 함께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지난주 이 자리에서, 유행 규모를 줄일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씀하셨습니다만, 방역조치가 늘어난 건 없어 보이는데요 효과가 얼마나 있겠습니까? 사적모임 인원을 줄이는 등의 더 논의해 결정하겠다는 건데, 어느 정도의 유행 규모일 때 이런 조치들이 추가된다고 예상해야 합니까? [앵커] 앞으로 4주 간 의료체계가 잘 버텨줘야 추가접종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겁니다 그래서 재택치료 중심으로 체계를 전환했죠 현장의 부담이 좀 줄어들 수 있을까요? 현장에 계신 입장에서, 현재의 방역조치가 4주간 지속될 때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어떤 겁니까? [앵커] 오늘 나온 거의 유일한 방역 강화 조치는 방역패스 유효기간을 6개월로 제한한 것인데요 6개월로 정한 근거는 뭡니까? [앵커] 만일 추가접종 속도가 더뎌지거나, 의료체계가 버티지 못할 경우, 그래서 정부가 기대한 방역 효과가 나오지 못할 때의 대책은 마련된 게 있습니까? [앵커] 이런 상황에서 오미크론이라는 신종 변이가 큰 변수로 떠올랐습니다 전파력이 얼마나 빠른 겁니까? [앵커] 증상은 어떻습니까? 중증으로 가는 치명률도 델타보다 높을 가능성이 있는 겁니까? [앵커] 한 달간의 시간을 벌기 위해, 일단 아프리카 남부 8개국의 입국을 금지했는데요 일각에서는 모든 외국인의 입국을 전면 제한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앞으로 이 오미크론 변이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도 과젭니다 기존의 백신으로 오미크론을 막을 수 있습니까? [앵커] 마지막으로 ‘백신 불평등’이 해소되지 않는 한 코로나 변이는 계속 나올 수밖에 없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 KBS 기사 원문보기 :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 이메일 : kbs1234@kbs co 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