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비묵상2025.1.27(월)평강김병수목사](https://poortechguy.com/image/b0s7SAZEqZ4.webp)
이슬비묵상2025.1.27(월)평강김병수목사
이슬비묵상2025 1 27(월) 일곱 지파의 땅 분배 여호수아18:1-28 오늘의 찬송 401(통457) 여호수아는 아직 땅을 차지하지 못한 일곱 지파에게 땅을 분배합니다 그중 베냐민 지파는 유다와 에브라임 지파 사이 땅을 유산으로 받습니다 나(우리)에게 주시는 교훈은 무엇입니까? 이제 각 지파는 회막이 있는 실로를 떠나 각자의 땅으로 흩어져 정착해야 합니다 이 모습은 모이고 흩어지기를 반복하는 오늘날의 교회와 닮았습니다 우리는 함께 예배하지만, 또 각자 삶의 자리로 복귀해야 합니다 우리가 살아갈 삶의 지도를 그려 보고, 믿음으로 하나씩 정복해 나갑시다 베냐민 지파는 크고 힘 있는 지파들 사이에 낀 작고 척박한 땅을 받았지만, 유다 지파와 경쟁하는 강한 지파로 성장합니다 요셉 자손처럼 상황을 핑계 삼지 않고 유산으로 받은 땅에서 성실하게 살아낸 결과일 것입니다 환경을 탓하며 게으르게 살지 말고, 주어진 자리에서 최선의 삶을 꾸려 갑시다 오늘의 기도 바쁜 일상을 핑계 삼아 말씀 묵상과 실천을 미루지 않게 하소서 예수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성경 이해 가나안 사람들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이스라엘은 진영을 길갈에서 실로로 옮기고, 그곳에 회막을 세웁니다 안정적으로 하나님을 예배할 때가 되었지만, 유다, 에브라임, 므낫세 반 지파를 제외한 나머지 일곱 지파는 아직 땅을 차지하지 못한 상태였습니다(1, 2절) 여호수아는 일곱 지파가 땅 차지하는 일을 더 이상 미루지 못하도록 각 지파에서 세 사람씩 선출하여 일곱 몫으로 구분된 땅의 지도를 그려오도록 하고, 그 지도를 근거로 주님 앞에서 제비를 뽑아 일곱 지파에게 각각 땅을 나누어 줍니다(3-10절) 베냐민 지파가 먼저 제비를 뽑아 남쪽 유다와 북쪽 에브라임 지파 사이의 땅을 분배받습니다(11-20절) 이 지역은 가나안 남북을 연결하는 도로가 지나기에 자주 분쟁이 발생했지만, 한편으로는 유력한 두 지파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하기도 했습니다 베냐민 지파가 차지한 성읍은 모두 26개입니다 12개 성읍은 척박한 동쪽에 위치하고, 나머지 14개 성읍은 북서쪽 산간 지방에 위치합니다(21-28절) 새번역성경 [ 1] 이스라엘 자손이 그 땅을 정복한 뒤의 일이다 이스라엘 자손 온 회중이 실로에 모여서, 거기에 회막을 세웠다 [ 2] 그러나 이스라엘 자손 가운데 유산을 아직도 받지 못한 지파가 일곱이나 남아 있었다 [ 3] 그래서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자손에게 이렇게 말하였다 "당신들은 어느 때까지 주 당신들 조상의 하나님이 당신들에게 주신 땅을 차지하러 가기를 미루겠소? [ 4] 당신들은 각 지파에서 세 사람씩을 선출하시오 내가 그들을 그리로 보내겠소 그들이 가서 그 땅을 두루 다닌 뒤에, 자기 지파가 유산으로 받을 땅의 모양을 그려서 내게로 가져 오도록 하겠소 [ 5] 그 땅은 일곱 몫으로 나눌 것이오 유다는 남쪽의 자기 영토에 머물고, 요셉 족속은 북쪽의 자기 영토에 머물도록 하시오 [ 6] 당신들은 그 땅을 일곱 몫으로 나누어서 지도를 그리고, 그것을 여기 나에게로 가져 오시오 그러면 내가 여기 주 우리 하나님 앞에서 제비를 뽑아서, 당신들의 몫을 결정하겠소 [ 7] 그러나 당신들 가운데서 레위 사람은 받을 몫이 없소 주님의 제사장이라는 직분이 곧 그들의 유산이기 때문이오 또한 갓과 르우벤과 므낫세 반쪽 지파는, 주님의 종 모세가 요단 강 건너 동쪽에서 그들에게 준 유산을 이미 받았소 " [ 8] 그 땅의 모양을 그리러 가는 사람들이 떠나려 할 때에, 여호수아가 그들에게 지시하였다 "가서 그 땅을 두루 다녀 보고, 그 지도를 그려서 내게로 돌아오시오 내가 여기 실로에서 주님 앞에서 제비를 뽑아서 당신들의 몫을 결정하겠소 " [ 9] 그 사람들이 가서 그 땅을 두루 다니며 성읍의 명단을 작성하여, 책에 일곱 몫으로 그려서, 실로의 진에 있는 여호수아에게 돌아왔다 [10] 실로에서 여호수아는 주님 앞에서 제비를 뽑고, 거기에서 그는 이스라엘 자손의 각 지파에게 그 땅을 나누어 주었다 [11] 첫 번째로 베냐민 자손 지파의 각 가문의 몫을 결정할 제비를 뽑았다 제비로 뽑은 땅의 경계선은 유다 자손과 요셉 자손의 중간이었다 [12] 그들의 북쪽 경계선은 요단 강에서부터 여리고 북쪽 비탈로 올라가서, 서쪽 산간지방을 지나 벳아웬 광야에 이르고, [13] 또 그 경계선은 거기에서부터 루스로 나아가서, 루스 남쪽 비탈에 이르는데, 루스는 베델이라고도 부른다 그 경계선은 다시 아다롯앗달로 내려가서, 벳호론 남쪽 산간지방으로 지난다 [14] 그 경계선은 또 남쪽으로 벳호론 맞은쪽 산에서부터 서쪽을 따라 남쪽으로 돌아서, 유다 자손의 성읍인 기럇바알 곧 기럇여아림에 이르러 끝난다 이것이 서쪽 경계선이다 [15] 남쪽 경계선은 기럇여아림 끝에서 서쪽으로 나아가서 넵도아 샘의 수원에 이르고, [16] 르바임 골짜기 북쪽에 있는 힌놈의 아들 골짜기 맞은쪽 산기슭으로 내려가고, 다시 힌놈 골짜기로 내려가서는, 여부스 남쪽 비탈을 지나서 엔로겔로 내려간다 [17] 그 경계선은 다시 북쪽으로 나아가 엔세메스에 이르고, 아둠밈 비탈 맞은편의 글릴롯으로 나간 다음에, 르우벤의 아들 보한의 돌까지 내려간다 [18] 이어서 북쪽으로 아라바 맞은쪽의 비탈까지 내려가, 아라바에 이른다 [19] 다시 북쪽으로 벳호글라 비탈을 지나, 요단 강 남쪽 끝 곧 요단 강 물을 끌어들이는 사해의 북쪽 어귀가 그 경계선의 끝이다 이것이 남쪽 경계선이다 [20] 동쪽 경계선은 요단 강이다 이것이 베냐민 자손이 그 가문을 따라 얻은 유산의 사방 경계선이다 [21] 베냐민 자손의 지파가 그들의 가문을 따라 차지한 성읍은, 여리고와 벳호글라와 에멕그시스와 [22] 벳아라바와 스마라임과 베델과 [23] 아윔과 바라와 오브라와 [24] 그발암모니와 오브니와 게바, 이렇게 열두 성읍과 그 주변 마을들, [25] 또 기브온과 라마와 브에롯과 [26] 미스바와 그비라와 모사와 [27] 레겜과 이르브엘과 다랄라와 [28] 셀라와 엘렙과 여부스 곧 예루살렘과 기부앗과 기럇, 이렇게 열네 성읍과 그 주변 마을들이다 이것이 베냐민 자손이 그 가문을 따라 얻은 유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