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Search
맹자 4 11,12 不遇故 去 豈予所欲哉 짝처럼 왕과 뜻이 맞지 않아 떠남이 어찌 나의 원하는 바이겠느냐!
show
맹자 4 11,12 不遇故 去 豈予所欲哉 짝처럼 왕과 뜻이 맞지 않아 떠남이 어찌 나의 원하는 바이겠느냐!
맹자 5 3 4,5 壤地褊小 將爲君子焉 등나라는 국토는 좁고 작으나 오히려 장차 훌륭한 군자가 나올 수 있다
맹자 4 3,4 從而不改故邪 좋은 것을 알고 연역해 고치지 않은 그러한 것이다
맹자의 4단 사상 #사소한 궁금증 #궁금증 #미스터리 #중국철학 #맹자 #사단 #측은지심 #겸양지심 #수오지심 #시비지심 #철학 #동양철학 #맹모삼천 #유교 #공자 #명언
맹자 4 2 1,2,3 命中止 禮之意不同 왕이 정해진 일정을 변경함은 禮의 뜻과는 맞지 않는다
@ 착할 선#性善設(孟子)맹자
맹자 4 5,6 孟子 待小 不惡而嚴 맹자께서 소인을 대함에 싫어하지 않고 위엄이 있으셨다 벼슬아치의 진퇴를 논하셨다
[김도균의 인문톡톡] 맹자(孟子)의 맹자(孟子)
맹자 4 13,14 舍 我 其誰也 이 때에 내가 아니면 그 누가 있겠는가! 나만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
[철학] 마음을 가꾸는 법 |맹자(孟子)
맹자 7 1 2,3,4 責難於君 恭, 陳善閉邪 敬, 吾君不能 賊 어려운 일을 군주에게 간하는 것을 恭敬이라 하고, 善을 베풀고 간사함을 막을 간하는 것을 존경이라 하고, 우리 군
맹자 6 9 2,3,4 楊朱爲我 無君 墨翟兼愛 無父 양주의 위아론은 군주가 필요 없는 설이고 묵적의 겸애론은 부모를 소홀히 하는 론리이니, 이 둘은 금수의 법도를 초래하게 된다
맹자 9 4 3, 5 1,2,3 天不言 以行與事 示之而已矣 하늘은 말하지 않고 行과 事로서 보여줄 뿐이다 舜임금의 행함과 베풂으로 하늘에 뜻을 받은 것이다
맹자 3 2 1,2,3 不惑 不動心 彊仕 나이 40을 공자 불혹아라 하셨고 맹자 부동심이라 허셨고 예기에는 벼슬할만큼 갖추어졌다고 하였다
맹자 11강 양혜왕하4
고대 중국의 유명한 유교사 맹자
맹자 8 15,16,17,18 原泉 混混 晝夜不舍 有本者如是 공자께서 물을 찬미한 곳이, 근원에서 용솟음 쳐 올라 밤낮으로 쉬지 않는 것이 군자가 학문에 뜻을 둔 것과 같다
맹자 6 10 豈有無人倫而可以爲廉哉 중자는 까탈을 부려 형과 어머니를 떠났으니, 인륜이 없이 어찌 청렴한 사람이라 할 수 있겠는가!
맹자 어머니와 돼지, 성선설을 주장했던 맹자, 맹자의 어렸을 때 일화를 통해 어머니의 지혜로운 처신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생각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