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감소세 정체구간 진입..."급격한 증가는 없을 것" / YTN](https://poortechguy.com/image/fSsQl6lH84A.webp)
코로나 감소세 정체구간 진입..."급격한 증가는 없을 것" / YTN
’정체기 진입’ 여부, 이번 주 추이 보고 판단 ’변이’ 확산도 변수…정부 "의료대응 역량 충분" [앵커] 최근 두 달 가까이 감소세를 이어온 코로나19 신규환자 규모가 어린이날부터 이어진 징검다리 연휴에 소규모지만 다시 반등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유행 정체기에 접어든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정부는 그래도 급격한 증가는 없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김평정 기자입니다 [기자] 최장 4일 징검다리 연휴의 끝은 코로나19 확진 규모의 반등이었습니다 연휴 직후 발표된 신규환자가 2만 명가량으로 일주일 전보다 5백여 명 증가한 것입니다 월요일 발표 수치가 전주 대비 증가한 건 오미크론 유행이 한창이던 지난 3월 중순 이후 8주 만입니다 일요일 발표된 확진자도 한 주 전보다 2천3백여 명 더 많은 4만 명 수준이었습니다 이러다 보니 유행 감소세가 멈추고 반등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주간 일평균 확진자 통계를 봐도 확진자 감소 폭은 최근 확연히 둔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백순영 /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 : 감소세가 굉장히 완만하게 떨어지고 있기 때문에 2만∼3만 명 정도에서 주간 일평균이 나올 것으로 보이고요 만 명 이하로 떨어지기가 상당히 시간이 걸리겠다 하는 예상이에요 ] 정부도 유행 감소세가 종식으로 가진 않을 것으로 봤다며 급격한 증가 대신 소규모 유행이 가을까지 이어질 거라고 전망했습니다 과거에는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바이러스 확산 자체를 억제했다면, 이제는 거리두기와 실외 마스크 해제 등 완화된 방역에 미감염자를 중심으로 소규모 감염이 계속되는 과정이 이어질 거란 설명입니다 지금의 소폭 반등이 정체기로의 진입인지 아직은 아닌지는 이번 주 추이를 보고 판단할 계획입니다 방역 완화와 함께 새로운 변이 확산 여부도 유행 변화에 영향을 줄 변수로 꼽힙니다 정부는 변이 바이러스의 전파력은 강해지더라도 치명률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현재 의료 역량으로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김평정입니다 YTN 김평정 (pyung@ytn co 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 co kr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