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점 빨라지는 '이른 황사' 이유는? / YTN 사이언스](https://poortechguy.com/image/lOmC60jNlz8.webp)
점점 빨라지는 '이른 황사' 이유는?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점점 빨라지는 '이른 황사' 이유는? ■ 차주완 국립기상과학원 연구관 [앵커] 봄이 되면 푸릇푸릇한 새싹과 꽃도 찾아오지만, 불청객 황사도 우리나라를 찾아옵니다 일반적으로 황사는 봄에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요새는 갈수록 황사가 오는 시기가 빨라지는 기분인데요 점점 빨라지고 더 심해지는 황사에 대해서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국립기상과학원 차주완 연구관 연결됐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사가 봄에 자주 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인터뷰] 네, 일반적으로 황사는 중국, 몽골 등 발원지 지역에서 바람에 의하여 하늘 높이 불려 올라간 미세먼지가 대기 중에 퍼져서 하늘을 덮었다가 서서히 떨어지는 현상인데요 국내에 영향을 주는 이런 황사의 입자 크기는 주로 1~10㎛ 사이입니다 이런 황사는 말씀하신 대로 봄철에 자주 나타나게 되는데요 봄철에는 황사가 불어오는 발원지에서 지면 온도가 높아지고, 강수량이 적어지게 됩니다 그러면서 황사가 발생하기 쉬운 조건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한마디로 봄철에는 먼지가 잘 날릴 수 있는 조건이 만들어진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앵커] 체감상 예전에는 4월에 황사가 왔었던 거 같은데요 점차 3월, 2월 빨라지는 기분입니다 실제로 황사가 일어나는 시기가 빨라지고 있나요? [인터뷰] 네 가장 심한 황사는 주로 3월과 5월 사이에 발생하는데요 최근 들어서 1~2월같이 겨울에 황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지금 보시는 표는 계절별 황사 빈도수에 대한 표인데요 연두색 부분으로 되어있는 게 봄에 일어난 황사 빈도수이고, 검은색 부분이 겨울에 나타난 황사 빈도수입니다 보시면 2000년도 이후로 점차 겨울에 황사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아지죠? 실제로 2002년 황사특보제가 시행된 이후 2009년에 처음으로 2월에 황사특보가 발생했었고요 그해 겨울 12월 25일에 황사가 와서 성탄절에 관측된 첫 번째 황사로 주목받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최근 2015년에도 2월에 황사 주의보가 왔었고, 올해는 설 연휴인 1월에 황사 주의보가 발령됐습니다 이처럼 겨울철인 1월과 2월에 황사가 자주 발생하고 있어, 전반적으로 황사가 일찍 시작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앵커] 그래픽을 보면 연두색으로 나타낸 부분이 봄 황사 그리고 겨울에 나타나는 황사는 파란색으로 나타났다는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