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속 아찔한 철거현장…안전대책은 허술 / KBS 2021.07.04.

도심 속 아찔한 철거현장…안전대책은 허술 / KBS 2021.07.04.

[앵커] 지난달 광주에서 발생한 철거 건물 붕괴 사고로 17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죠 울산 곳곳에서도 이런 철거공사가 진행되고 있는데, 시민 안전은 뒷전인 현장도 곳곳에서 확인됐습니다 이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철거를 앞둔 남구의 한 다세대주택 건물 본격적인 해체공사를 앞두고 부서진 내부 자재들이 3층 난간에 아슬하게 쌓여 있습니다 도로와 맞닿아 있지만 보행자를 위한 안전조치는 어디에도 없습니다 이 3층짜리 주택 건물 철거 현장도 천막 수준의 가림막만 둘렀습니다 [인근 상인 : "광주 (사고) 생각하면 좀 불안하죠 사람들 왔다갔다 하는 것도 그렇고 또, 무너지면 옆집도 있고 그런데 "] 철거 업체는 수신호사 2명을 배치해 차량 진입은 통제하고 있지만, 모든 사람의 통행까지 막긴 어렵다고 말합니다 [현장관계자/음성변조 : "사람들이 내가 왜 이리로 가야 하는데 너희들이 왜 막나 하면 우리가 아무리 구청에 점유허가 냈다 하더라도 고발하는 거라 "] 현행법 상 이런 소규모 건축물은 구청에 신고만 하면 철거할 수 있는 '신고 대상' 해체 공사현장입니다 문제는 허가권자가 감리를 지정하는 '허가 대상' 해체공사와 달리 계획서대로 작업이 진행되는 지, 안전대책은 적절한 지를 감독할 감리자를 현장에 둘 의무가 없다는 점입니다 안전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을 수밖에 없습니다 현재 울산지역 내 건물 해체 공사 현장 362곳 가운데 허가 대상은 8%인 32곳에 불과합니다 서울과 대전, 대구 등 일부 지자체가 현장 상주 감리 운영을 의무화하는 조례를 마련했지만, 울산시는 형식적인 현장점검과 행정지도에만 나설 뿐 입니다 KBS 뉴스 이정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그래픽:박서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