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학개론] 폭염에 영향 미치는 요소…기온·습도·복사열 등 다양 / YTN 사이언스
■ 반기성 / 케이웨더 예보센터장 [앵커]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올여름 역대급 폭염이 예측되죠 지난주에는 서울에 폭염주의보가 발령되기도 했는데요 그런데 이 폭염도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가 다양하다고 합니다 오늘 '날씨학개론'에서는 '폭염지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케이웨더 반기성 센터장 나왔습니다 어서 오세요 옛 선조들은 무더운 여름날 강바람을 쐬면서 더위를 식혔다고 하는데요 우리도 더우면 한강을 찾곤 하잖아요 이처럼 같은 도심이라도 주변 환경에 따라서 온도가 차이가 나는 것 같아요 [인터뷰] YTN의 정혜윤 기자가 주요 지역의 기온을 직접 측정해 보도하는 것을 제가 봤는데요 도심에서 가장 뜨거운 곳은 '아스팔트 도로'였다고 합니다 지난 10일 오후 1시 기상청 서울 관측기온은 33도였는데, 도로 표면 온도는 51도로 대기 온도보다 20도가량 높았습니다 도로 옆 인도는 아스팔트 도로보다 낮은 40도나 됩니다 그런데 요즘 더위를 피하라고 횡단보도 쪽에 설치된 그늘막이 있지 않습니까? 이곳의 표면 온도는 25도밖에 안 됩니다 실제 그늘막이 더위를 막는 데 도움이 된다는 거지요 도심 속 하천인 청계천에서 기온을 재보니 그늘은 20 9도, 물가는 17 7도로 도심 공식 기온보다 10도 이상 낮았다고 해요 또, 한강 역시 바람이 한 번 불 때마다 피부 온도를 떨어트려 체감온도가 약 2~3도가량 낮아진다고 합니다 [앵커] 같은 도심이어도 아스팔트와 그늘 그리고 물가 기온이 확연한 차이가 난다는 건데요 이렇게 기온 차이가 큰 이유는 무엇일까요? [인터뷰] 아무래도 우리가 더위를 나타내는 가장 편한 지수가 기온이다 보니 기온으로 많이 측정하는데요 하지만 실제 사람이 느끼는 더위는 기온만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 그 예로 들 수 있는 것이 기상청의 폭염 특보인데요 그동안 단지 기온만을 가지고 폭염 특보를 발령했는데, 2018년이나 2019년 폭염 때 보니까 기온이 폭염 기준보다 낮은데, 많은 온열 질환자들이 발생했거든요 원인을 조사해 보니 기온 외에 습도가 사람들에게 아주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그래서 올해 폭염 특보 기준을 바꿨습니다 기온에다가 습도의 영향을 더한 체감온도가 폭염 특보의 기준이 된 것이죠 지금까지는 낮 최고기온이 33도 이상 이틀 이상 지속하면 폭염 주의보, 35도 이상 이틀 이상 지속하면 폭염 경보를 발표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개정한 폭염 특보는 사람이 실제 느끼는 체감기온이 33도 이상 이틀 이상 지속하면 폭염 주의보, 체감기온이 35도 이상 이틀 이상 지속하면 폭염 경보를 발령합니다 [앵커] 그러니까 이제 기온과 더불어서 습도를 고려한 체감온도를 기준으로 폭염 특보가 바뀐다는 것인데요 체감온도는 어떻게 산정하게 되나요? [인터뷰] 동일한 기온에서도 습도가 증가하면 사람이 느끼는 체감기온은 높아집니다 그래서 기상청에서 만든 체감온도는 기온이 30도~40도 범위에서, 습도 50%를 기준으로 합니다 여기에서 습도가 10% 증가 혹은 감소함에 따라 체감하는 온도가 약 1℃ 증가 혹은 1℃ 감소로 설정하는 것이죠 예를 들어 기온이 33도인데 습도가 40%라면 1도가 감소하면서 체감기온은 32도가 되는 것이고요 습도가 60%라면 1도가 더해지면서 34도가 되는 겁니다 이렇게 바꾸면 폭염 특보발표 일수도 변합니다 기상청이 분석한 폭염 특보개선으로 인한 폭염 발표 횟수는 내륙지역은 평균 0 3일 감소하는데, 반면 상대적으로 습도가 높은 해안지역은 평균 8 6일 증가하면서 전국적으로는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