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취재파일] 2050 탄소 중립 실현…기술 혁신으로 이끈다 / YTN 사이언스](https://poortechguy.com/image/mhiBss7seAk.webp)
[사이언스 취재파일] 2050 탄소 중립 실현…기술 혁신으로 이끈다 / YTN 사이언스
■ 이혜리 / 과학뉴스팀 기자 [앵커] 다양한 분야의 과학 이슈를 과학 기자의 시각으로 집중, 분석하는 '사이언스 취재파일' 시간입니다 스튜디오에 이혜리 기자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오늘은 어떤 소식 전해주실까요? [기자] 요즘 여러 매체를 통해 '탄소 중립'이라는 단어는 한 번쯤 들어보셨을 텐데요 탄소 중립이라는 건 기후변화의 원인이 되는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실질적으로 제로, '0으로 만들자'라는 건데, 우리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는 과제 중 하나입니다 최근에는 관련 실천 전략, 추진 전략도 함께 발표됐는데요 오늘 이 시간 관련 내용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앵커] 실질적인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는 게 바로 '탄소 중립'인데, 이 중립이라는 말이 탄소 배출을 어떻게 하겠다는 건지 잘 와 닿지 않거든요 탄소 중립, 어떤 건지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주시죠 [기자] 네, 일단 탄소 중립이라는 것은 전 세계가 가장 요즘 우선 과제로 꼽는 화두라고 할 수 있는데요 말씀하신 대로 탄소 중립이라는 게 탄소를 아예 배출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배출된 양만큼 흡수해서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그런 의미입니다 주요 나라들도 탄소 중립을 잇달아 선언하고 있는데요 EU는 2019년에 가장 먼저 탄소 중립을 선언했고, 중국과 일본, 그리고 우리나라도 지난해 탄소 중립 선언에 동참했습니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은 올해 신년사에서 탄소 중립 추진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는데요, 신년사 내용 직접 들어보시죠 [문재인 / 대통령 : 올해는 기후변화협약 이행 원년입니다 정부는 그동안 우리 경제 구조의 저탄소화를 추진해왔습니다 그 노력을 확대해 올해 안에 에너지와 산업을 비롯한 사회 전 분야에서 2050 탄소 중립 추진 계획을 구체화할 것입니다 정부는 수소 경제와 저탄소 산업 생태계 육성에 더욱 속도를 내고 세계 시장을 선점해 나가겠습니다 ] [앵커] 이렇게 우리를 비롯한 여러 나라가 탄소 중립 선언에 동참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워낙 제조업 비중이 높아서 탄소 중립을 실현하는 게 쉽지는 않다고 들었거든요 [기자] 그렇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국내 총생산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제조업의 비중은 약 30%에 달합니다 중국 다음으로 제조업 비중이 높은데요 때문에, 탄소 중립 실현은 우리나라로서는 도전적인 과제일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이유로 정부는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기술 혁신'을 무엇보다 강조하고 있습니다 발언 내용 직접 들어보시죠 [용홍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 : 기상 재해가 증가하는 등 기후 위기가 현실화되면서 국제 사회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이전보다 강화된 목표인 2050 탄소 중립으로 지향점을 전환하고 있습니다 이런 국제사회 노력에 발맞춰서 정부는 지난해 12월 2050 탄소 중립 추진전략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석탄 발전과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2050 탄소 중립 실현은 도전적 과제입니다 이를 실현 위해서는 기술혁신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시급하다는 판단에 따라 이번 전략을 마련했습니다 ] [앵커] 기술 혁신으로 탄소 배출량을 줄이겠다는 건데, 그렇다면 기술 혁신은 어떻게 추진할 계획인가요? [기자] 네, 쉽게 말하면 우선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10가지 핵심기술을 선별하고 이를 전략적으로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온실가스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분야는 무엇인지 등을 고려해서 해당 분야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도출한 건데요 자세하게 좀 더 살펴보면, 일단 전체 온실가 #탄소 #탄소중립 #온실가스최소화 #환경문제 #친환경 #전기차 #노플라스틱 #탄소배출량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