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지관 폐업 석 달... 안일한 대처, 피해 키워 2019.10.18(금)
[앵커멘트] 전주 근로자종합복지관이 적자 등을 이유로 문을 닫은 지 석 달이 지났지만, 뾰족한 대책이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애초에 막을 수 있던 문제들을 전주시가 수년 동안 방치해 피해를 키웠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이지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주시가 한국노총 전주·완주지부에 운영을 맡긴 근로자종합복지관입니다 시민들이 이용하던 헬스장과 사우나실 등이 문을 닫은 지 벌써 석달이 지났지만, 언제 정상화될지 기약이 없습니다 김동호 / 전주시 근로자종합복지관 비상대책위원장[인터뷰] "참담한 심정이었고 전주시에 대해서 모든 걸 기다리는 상황입니다 " 밀린 임금과 공과금에, 이용권 등을 미리 산 회원들의 피해까지 갚아야 할 채무만 7억 원이 넘습니다 전주시는 피해 구제나 정상화 방안에 뭐 하나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 못한 채, 운영자를 고발하고, 위탁 계약을 해지하고 전부입니다 전주시 근로자종합복지관 전 직원(음성변조)[녹취] "없죠 연락도 없죠 용역해서 여기를 다시 할지 검토 중이고 뭐 그런 얘기만 하더라고요 " 근로자종합복지관은 두 해 전에도 공과금을 내지 못해 문을 닫았습니다 하지만, 전주시는 근본적인 해결책을 고민하기보다는 예산을 더 들여 상황을 모면하는데 급급했습니다 이미숙 / 전주시의원[인터뷰] "민간 위탁을 했으면 관리·감독을 충분히 했어야 했는데 그냥 방치하고 " 전주시의 안일한 대처와 예산 퍼주기식 행정이 결국 피해를 더 키웠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지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