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추적] 한미훈련 끝나자 무더기 미사일…북한의 속내는 [MBN 종합뉴스]

[뉴스추적] 한미훈련 끝나자 무더기 미사일…북한의 속내는 [MBN 종합뉴스]

【 앵커멘트 】 북한이 단거리 탄도미사일 8발을 한꺼번에 쏜 것은 상당히 이례적인 일로, CNN 등 외신들도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긴급 속보로 타진했습니다 북한의 속내는 무엇인지 정치부 외교안보팀 강영호 기자와 알아보겠습니다 【 질문1 】 강 기자, 제 기억에 북한이 8발을 연달아 발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 같은데요? 【 답변1 】 북한은 지난 2014년 3월 한미 연합 독수리 훈련에 반발해 한 달 사이 총 90발의 미사일과 로켓, 방사포를 발사한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연달아 8발을 쏜 것은 사실상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번에 발사한 탄도미사일은 이른바 단거리 3종 세트인 북한판 이스칸데르 KN-23, 북한판 에이태큼스 KN-24, 초대형 방사포 KN-25로 추정됩니다 비행거리는 110km에서 670km에 달하는데 남한 전역에 대한 타격 능력을 보여주고, 미사일 방공망을 무력화시킬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였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질문2 】 어제(4일)까지 한미 해군이 해상에서 대규모 연합훈련을 진행했었죠 이번 도발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을까요? 【 답변2 】 북한은 지난번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이 끝나자 마자 미사일 3발을 발사했는데, 이번 발사는 한미 연합훈련에 대한 항의의 성격이 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본 오키나와 해상에서 끝난 한미 해군 연합훈련은 4년 7개월 만에 핵추진 항공모함인 로널드 레이건호가 참여한 것을 비롯해 한미 양국 전함 7척이 동원됐습니다 지난 3일 열린 한미일 북핵수석대표 회동에선 전략자산 전개를 시사하는 등 한미 당국의 강경해진 태도에 대한 반발 차원이란 분석입니다 ▶ 인터뷰(☎) : 양무진 /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 "대외적으로는 한미군사훈련 그리고 한미일 수석대표의 대북 강경 정책에 대한 일종의 반발의 의미도 담긴 것으로 분석합니다 " 당장 이번 주 한미·한미일 외교차관 협의가 예정돼 있고,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샹그릴라 대화 계기로 한미일 국방장관회담도 열릴 것으로 알려져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 질문3 】 최근 북한이 여러 미사일을 섞어 쏘고 있는데, 이에 대해 우리 군이 대응할 수 있을까요? 【 답변3 】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비한 '한국형 3축체계'는 미사일 발사 전후로 구분됩니다 발사 징후가 포착됐을 때 원점을 타격하는 '킬체인'이나 이미 발사된 미사일을 사드나 패트리엇으로 요격하는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를 들 수 있죠 대규모 도발 의지를 사전에 차단해버리는 '대량응징보복'도 3축에 포함됩니다 군 당국은 최근 북한의 도발 때마다 킬체인이나 대량응징보복에 활용될 수 있는 무기체계를 선보였습니다 지난달 24일 군은 F-15K 전투기 30여 대를 동원해 엘리펀트 워크 훈련을 진행했고, 한미 연합으로 탄도미사일 대응 발사를 하기도 했습니다 윤 대통령이 직접 연합방위태세를 강화하라고 지시한 만큼 우리 군도 육해공 차원의 대응 훈련에 나설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 질문4 】 조금 전 리포트에서도 나왔지만, 북한의 핵실험 가능성도 꾸준히 나오고 있어요? 【 답변4 】 한미 정보당국에 따르면 북한의 핵실험은 이미 모든 준비를 마친 채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결심만 남은 상태로 보입니다 특히 이번 핵실험에선 소형전술핵에 대한 시험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오늘(5일)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가 집중적으로 이뤄진 것 역시 남한을 겨냥한 소형전술핵 장착을 염두에 둔 시험 발사라는 분석입니다 이달 초 중순 노동당 전원회의를 앞둔 가운데 대남·대미 메시지를 밝히며 핵실험을 감행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 앵커멘트 】 지금까지 정치부 강영호 기자였습니다 [ nathaniel@mbn co kr ] 영상편집 : 한남선 그래픽 : 백미희 #MBN #종합뉴스 #주요뉴스 #MBN뉴스 ☞ MBN 유튜브 구독하기 ☞ 📢 MBN 유튜브 커뮤니티 MBN 페이스북 MBN 인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