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上-42) 「孟子(맹자)」 제7盡心(진심上)편 42, 43장

(7-上-42) 「孟子(맹자)」 제7盡心(진심上)편 42, 43장

孟子 曰天下有道엔以道殉身하고 天下無道엔以身殉道하나니 未聞以道로 殉乎人者也케라 -------------------------------------------------------------------------------------- 殉(따라죽을 순)은 여기서 從의 뜻인데 殉이라 쓴 것은 道는 몸에서 떼려야 뗄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곧 군자는 도를 행하다가 죽은 뒤에나 그만둔다는 君子有終의 뜻을 담고 있다 맹자가 여기서 말한 내용은 『중용』 제10장의 ‘國有道에 不變塞焉’하며 ‘國無道에 至死不變’(진심상편 제9장 해설 참조)이라는 내용이다 또한 한 자를 굽혀 여덟 자를 편다는 枉尺直尋의 논리로는 결코 남을 곧게 하지 못하기에(등문공하편 제1장) 또한 ‘未聞以道 殉乎人者也’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공자는 “뜻있는 선비와 어진 사람은 삶을 구하면서 인을 해침이 없고, 몸을 죽여서 인을 이룸이 있느니라(子曰志士仁人은 無求生以害仁이오 有殺身以成仁이니라 - 『논어』 위영공편 제8장) ”고 한 것이다 ---------------------------------------------------- 公都子 曰滕更之在門也에 若在所禮而不答은 何也잇고 孟子 曰挾貴而問하며 挾賢而問하며 挾長而問하며 挾有勳勞而問하며 挾故而問이 皆所不答也니 滕更이 有二焉하니라 --------------------------------------------------------------------------------------- 등경은 滕나라 군주의 아우로 맹자에게 와서 공부했다 그러나 등경이 뭘 물어도 맹자는 응답하지 않았다 공자의 誨人不倦으로 볼 때 이상하다고 여긴 공도자가 이를 묻자 맹자는 답하지 않는 다섯 가지 이유로 挾貴 挾賢 挾長 挾有勳勞 挾故를 들면서 등경은 이 가운데 두 가지를 두었다고 했다 趙岐는 挾貴와 挾賢을 들었는데, 등경은 군주의 아우였기에 挾貴와 挾有勳勞 혹은 挾貴와 挾故가 아닐까 한다 앞서 만장하편 제3장에서 맹자는 벗함에 “不挾長하며 不挾貴하며 不挾兄弟而友니 友也者는 友其德也니 不可以有挾也니라”고 했는데, 제자가 된다는 것은 스스로를 낮추고 상대에 대한 공경의 마음이 있어야 한다 倨慢함을 옆에 낀다는 것은 배움의 자세가 아니기에 맹자는 不屑之敎誨로 다스린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