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上-32) 「孟子(맹자)」 제7盡心(진심上)편 32장

(7-上-32) 「孟子(맹자)」 제7盡心(진심上)편 32장

公孫丑 曰詩曰不素餐兮라하니 君子之不耕而食은 何也잇고孟子 曰君子 居是國也에 其君이 用之則安富尊榮하고 其子弟 從之則孝弟忠信하나니 不素餐兮 孰大於是리오 --------------------------------------------- * 인용된 詩는 魏風 伐檀篇 첫 장의 한 대목으로 다음과 같다 “坎坎伐檀兮하여 寘之河之干兮하니 河水淸且漣猗로다 不稼不穡이면 胡取禾三百廛兮며 不狩不獵이면 胡瞻爾庭有縣貆兮리오하나니 彼君子兮여 不素餐兮로다 (끙끙거리며 박달나무를 베어 하수 물가에 두니 하수물이 맑고 또 물결치며 흐르도다 심지 않고 거두지 아니하면 어찌 벼 삼백 전을 취하며, 사냥하지 않고 또 사냥하지 아니하면 어찌 네 뜰에 담비 매달아놓은 것을 보겠는가 하나니, 저 군자여, 공연히 먹지 않도다) ---------------------------------------------------------------------------------- 공손추의 물음은 陳相이 맹자를 보고 “滕君則誠賢君也어니와 雖然이나 未聞道也로다 賢者는 與民並耕而食하며 饔飧而治하나니 今也에 滕有倉廩府庫하니 則是厲民而以自養也니 惡得賢이리오(등문공상편 제4장)”라고 한 말이나 彭更이 “後車數十乘과 從者數百人으로 以傳食於諸侯 不以泰乎잇가” “士無事而食이 不可也니이다(등문공하편 제4장)”라고 말한 내용 등과 같다 땀 흘려 수고롭게 노동하는 것을 일(事)로만 알고, 각자에게는 맡은 바 職分이 있고, 어버이를 섬기는 것이 큼이 됨(事親爲大 - 이루상편 제19장)을 알지 못하는 소치이다 道德을 갖춘 군자가 그 나라에 거처한다면 나라의 流風이 달라지는데 무슨 일이 이보다 더 크겠는가? 공자가 九夷에 거처하시려고 했을 때(子欲居九夷러시니) 혹자는 ‘누추한 곳에 어찌 가시렵니까?(或曰陋커니 如之何잇고)’하고 물었다 공자는 ‘군자가 거처한다면 어찌 누추함이 있으리오(子曰君子居之면 何陋之有리오 - 『논어』 자한편 제13장)’라고 했는데 위의 맹자의 답변이 이에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