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경제] 오늘 금통위 빅스텝 유력...기준금리 3%시대 임박 / YTN](https://poortechguy.com/image/uQCvimxHEKc.webp)
[굿모닝경제] 오늘 금통위 빅스텝 유력...기준금리 3%시대 임박 / YTN
■ 진행 : 정지웅 앵커, 유다원 앵커 ■ 출연 :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시 [YTN 굿모닝 와이티엔]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경제 소식을 빠르게 전달해 드립니다 오늘 굿모닝경제는석병훈 이화여대 교수와 함께합니다 어서 오십시오 한국은행이 오늘 기준금리를 발표합니다 시장의 예상은 빅스텝이지만,다양한 고려할 점이 있는 것 같아요 경기침체, 가계 빚 부담 이런 것들이 있는데 그러다 보니까 한국은행도 끝까지 고심을 하겠죠 [석병훈] 그렇습니다 그렇지만 저는 이번에 빅스텝 당연히 단행을 해야 되고요 그다음에 이번뿐만 아니라 마지막 한 번 남은 금통위에서도 최소 빅스텝을 해야 된다고, 최소한 빅스텝입니다 해야 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게 물가상승을 억제하고자 하는 한국은행 금리인상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것이 가장 우려스러운 점이거든요 왜냐하면 최근에 작년에 잭슨홀 미팅에서 제롬 파월 의장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그게 페드의 연구자료를 기반으로 한 건데요 금리인상이 물가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통화정책의 시차라는 것이 있습니다 그것이 1년 이상 걸린다 그래서 1년 정도면 그래도 효과가 나타난다고 봐야 되는데요 우리나라 한국은행은 선제적으로 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해서 작년 8월부터 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면 올해 8월부터는 그 효과가 우리가 나타나기 시작해야 되는데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지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을 보면 지난 9월에 발표한 자료는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소폭 하락하긴 했으나 그것보다 중요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있습니다 변동성이 큰 농산물 가격이라든지 식료품 가격,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지수인데 그 상승률은 오히려 소폭 증가를 했습니다 그것은 이 통화정책의 효과, 금리 인상 정책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거든요 그러다 보니 지금 IMF에서 수정 경제전망도 발표했는데 수정 경제전망에 따르면 내년에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이 오히려 올라갈 것이다라고 전망을 했거든요 그리고 반면 경제성장률은 떨어질 것이다, 이런 식의 전망들이 나오고 있는데 이렇게 물가상승을 잡지를 못하면 지금 가계부채 문제도 심각한데 내년에 정말 스태그플레이션의 고통에 처할 수도 있기 때문에 그것을 잡기 위해서는 금리를 인상을 해야 되고요 그것뿐만 아니라 한국과 미국 간의 금리 격차가 점점 벌어지면 환율도 원-달러 환율이 인상되고 그것은 수입물가 상승을 통해서 국내 물가를 추가로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원-달러 환율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도 2회의 빅스텝, 최소 2회의 빅스텝은 반드시 필요하다, 이렇게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앵커] 일단 금리 인상이 기정사실화된 것 같고 관심은 앞으로 금리인상 기조가 언제까지 이어질까인 것 같은데 이게 11월뿐만 아니라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시는 건가요? [석병훈] 저도 그렇게 불가피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한국은행 이창용 총재도 이미 미국에서 금리를 인상을 지속하는 한 우리나라도 금리를 인상을 할 수밖에 없다 미국은 대규모 개방 경제고 우리나라는 소규모 개방경제기 때문에 미국의 통화 정책을 우리나라도 따라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렇게 얘기를 했거든요 그런데 미국의 경우에는 미국에서 연준이 통화정책을 할 때 가장 중요시하게 보고 있는 개인소비 (중략)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