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잇] 미·러, 종전 협상...'우크라 패싱' 의미는 / 연합뉴스TV (YonhapnewsTV)](https://poortechguy.com/image/v2I0dSDpf5E.webp)
[뉴스잇] 미·러, 종전 협상...'우크라 패싱' 의미는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출연: 공주대 국제학부 임은정 교수] 오는 24일 만 3년을 맞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최대 변곡점을 맞고 있습니다 미국과 러시아가 고위급 회담을 열고 우크라이나전 종전 방안 마련을 위한 협상을 시작했는데요 그 의미를 공주대 국제학부 임은정 교수와 자세히 분석해봅니다 [질문 1] 미국과 러시아가 현지시간으로 18일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논의를 위해 협상을 시작했습니다 전쟁 발발 3년(2월24일)을 앞두고 종전 협상에 나선 건데요 배경은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2] 이런 미러 양측의 종전 회동은 트럼프 미 대통령이 지난 12일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예고 없는 전화 통화를 한 이후 급물살을 탔다고 하는데요 이렇게 협상에 나서는 미국과 러시아의 속내는 뭐라고 보세요? [질문 2-1] 미국의 이런 행보는 전임 바이든 정부와는 전혀 다른 모습입니다 바이든 행정부는 러시아를 고립시키기 위해 노력했는데요 이런 바이든 행정부의 기조를 사실상 폐기하고 러시아를 껴안는 이유는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3] 그런데 이 협상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진행했습니다 이유가 뭐라고 보세요? 미 국무부에 따르면 모하메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 파이살 빈 파르한 사우디 외무장관과도 회동했다고 하는데, 사우디가 중재 역할을 맡았다고 볼 수도 있을까요? [질문 4] 약 4시간 30분 가량 진행된 회담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고위급 협상팀을 각자 구성하기로 합의하고, 종전 이후 재건을 위한 공조 의지도 확인했습니다 이런 분위기라면 우크라이나 종전 선언이 좀 더 빨라질 수 있다고 보세요? [질문 4-1] 미러 정상회담이 곧 성사될거라는 전망도 있었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빠르면 이달 안에 푸틴 대통령과 직접 만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죠 언제쯤 이뤄질걸로 보세요? [질문 5] 하지만 결과를 낙관하기는 이르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당장 러시아는 나토의 확장과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은 러시아 연방의 이익과 주권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이라는 강경한 입장을 강조했는데요, 러시아 입장은 어떤겁니까? [질문 5-1] 반면 트럼프 행정부는 우크라이나가 주권국가로서 스스로를 방어할 수 있는 조건으로 평화조약이 체결돼야 한다는 주장을 펴는 것으로 전해졌는데요 우크라이나 종전 이후 유럽 평화 유지군 주둔 문제와 관련해서는 러시아 측과 뚜렷한 인식 차이를 보였다고 하는데, 러시아가 이런 미국 측의 요구를 얼마나 수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세요? [질문 6] 무엇보다 이번 협상에 초대받지 못한 우크라이나는 자국이 빠진 종전 협상은 절대 인정하지 못한다는 입장입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19일에 사우디를 공식 방문하기로 했지만 오는 3월 10일로 연기했고요 키이우에서 미국 대표단을 기다리겠다고 밝혔는데요 이런 우크라이나의 입장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6-1] 트럼프 미 대통령은 젤레스키 대통령의 지지율이 4%에 불과하다며 정권 교체가 필요하다는 취지로 발언해 파장이 일고 있고요 러시아 역시 지난해 5년 임기가 만료된 젤렌스키 대통령이 전쟁을 이유로 대선을 치르지 않아 정당한 대통령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는데요 종전 협사에 있어 젤렌스키 대통령의 입지가 더 좁아지는 건 아닐까요? [질문 7] 그렇다면 우크라이나가 바라는 종전협상의 조건은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8] 여기에 유럽연합 역시 미러의 야합 가능성을 경계하면서 휴전이나 종전 조건이 러시아에 유리하게 나오면 수용할 수 없다는 뜻을 비치고 있습니다 휴전이나 종전 논의가 트럼프 미 대통령이 예고한 '관세 폭탄'과 연관이 있다는 것도 유럽 연합 입장에서는 고민거리가 될텐데요 향후 유럽연합의 행보는 어떻게 예상해볼 수 있을까요? [질문 9] 미러 양측의 종전 협상에 '파병 북한군' 문제 역시 테이블 오를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미 대통령이 공식석상에서 러시아를 위해 참전한 ‘북한군’을 처음으로 거론했는데요 어떤 의도일까요? [질문 9-1]일각에서는 트럼프 미 대통령의 북한 관련 발언은 협상을 위한 압박 카드라는 해석도 나오는데요? [질문 10] 외교 안팎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임기 내 노벨평화상 수상을 노리고 북한을 러시아에서 떼어 내 독립적으로 북미 정상회담을 추진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습니다 푸틴 대통령과 우호 관계를 맺어 중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는 동시에 북한 문제를 독자적으로 접근하겠다는 포석이 아니겠냐는 추정인데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라고 보십니까? [질문 11] 이렇게 되면, 트럼프 미 대통령이 북미 대화 주도권을 더욱 강하게 쥐게 될테고요 우리나라가 한반도 안보 문제에 관여할 여지가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2] 북한은 이런 미러 양측의 종전 협상에 어떤 반응을 보일 것으로 보십니까, 우크라이나전 종료는 북미 협상의 신호탄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는데요? [질문 12-1] 당장 러시아는 오는 5월 전승절 열병식에도 김정은 위원장을 초청한 상태인데요 북한이 호응할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13]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내기 위한 미국과 러시아의 발걸음이 빨라지면서 종전이 동북아시아 정세에 미칠 영향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우리의 외교 정책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십니까? ▣ 연합뉴스TV 두번째 채널 '연유티' 구독하기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