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뉴스] 21년 만에 미제 사건 푼 'DNA'...수사 얼마나 진화했나? / YTN](https://poortechguy.com/image/xyB74IsUZxQ.webp)
[더뉴스] 21년 만에 미제 사건 푼 'DNA'...수사 얼마나 진화했나? / YTN
■ 진행 : 김영수 앵커, 엄지민 앵커 ■ 출연 : 백기종 / 전 수서경찰서 강력팀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더뉴스]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2001년 대전의 한 은행에서 벌어진 강도 살인 사건의 용의자 2명이 검거됐는데요 이들의 신상도 공개됐고요 경찰은 용의자들의 마스크와 손수건에서 DNA를 채취했고 21년 만에 붙잡은 겁니다 DNA의 수사가 얼마나 진화해왔는지 백기종 전 수서경찰서 강력팀장과 짚어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백기종] 안녕하십니까 [앵커] 안녕하십니까 잔인한 살인사건, 강도 살인사건이었는데요 먼저 이 사건이 어떤 사건이었습니까? [백기종] 이게 2001년도, 그러니까 크리스마스를 4일 앞둔 12월 21일날 특정 강력범죄법에 의해서 지금 신원이 공개된 이승만, 이정학 이 사람들이 고등학교 동창들이었거든요 나이 30, 31세 되던 때 범행을 했는데 경찰관이 야간에 권총을 차고 순찰 중이었는데 그 경찰관을 차량으로 충돌해서 권총을 탈취합니다 그리고 차량을 또 수원에서 훔쳐서 그걸 2개월 후에 범행을 어떻게 했냐 하면 평소에 현금수송차량이 어디로 가고 어디서 하차하고 어디로 정지하는지 이걸 모두 행동 패턴을 익혔다고 해요 그래서 그걸 사전에 답습하고 나서 디데이를 정해서 그날 오전 10시에 3억 원의 돈가방 2개를 가지고 있었는데 탈취한 권총으로 그 45세 된 은행직원을 살해하고 그다음에 3억 원이 든 가방 하나를 탈취해서 도주를 했는데 지금까지, 그러니까 날짜로 치면 7553일 만에 검거거든요 그래서 20년 만에 검거한 사건인데 지금 전체적으로 보면 과연 이렇게 오래된 사건이 해결될 수 있는가 하는 의문점이 있어서 전국적으로 굉장히 핫한 이슈가 되고 뉴스가 되고 있는 겁니다 [앵커] 그러면 20년이 넘는 세월이 흘렀는데 어떻게 이게 풀리게 된 건가요? [백기종] 어떻게 풀리게 됐냐면 그 당시에 현장에 강력사건이 나게 되면 강력팀에서 출동을 해서 현장에 유류된 증거가 될 만한 것을 전부 채집을 합니다 그래서 데이터베이스화해서 보관하기도 하지만 증거물과에서 이 사건이 미제사건이 될 것을 우려해서 나중에 체포될 것을 생각을 해서 증거물까지 계속 다 보관하고 있는 겁니다 그래서 미제전담수사팀이 2011년 17개 시도 경찰청에 발족이 됐거든요 그래서 이 사건에 대해서 계속 대전경찰청에서 관심을 갖고 있다가 결국 서치를 해보니까 그 당시 범행에 이용된 차량 안에서 얼굴을 가린 마스크와 손수건을 발견하게 된 것이죠 그래서 이걸 아마 진화된 DNA법에 의해서 감식 의뢰를 해 보자 이렇게 됐는데 결국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이 DNA가 2015년도에 충북의 한 불법게임장에서 채집된 DNA하고 일치한다 그렇게 돼서 여기에 관련된 1만 5000여 명의 용의자들을 선정을 해서 그중의 300명을 압축을 해서 결국 이정학이라는 사람의 DNA와 일치하는 것을 특정해서 강원도 정선에서 지난 8월 25일날 검거를 하고 결국 공범이 있다고 하는 자백에 의해서, 그다음에 이승만까지 함께 검거를 한 그런 7553일 만에 유가족, 특히 피해자에 대한 한을 갚아준 그런 사건으로 저는 생각을 합니다 [앵커] 정리를 해 보면 21년 전 범행을 저지른 범인의 DNA가 우리가 확보했었던 손수건과 마스크에 남아 있었던 거잖아요 DNA 검출은 언제까지 할 수 있는 겁니까? [백기종] DNA 검출 같은 경우에는 예전에 보도가 돼서 굉장히 뉴스거리가 됐었던 것은 수천 년 된 미라 치아 (중략)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