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지현장] 윤희숙, 대선 출사표…"희망으로! 미래로!"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1번지현장] 윤희숙, 대선 출사표…"희망으로! 미래로!"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1번지현장] 윤희숙, 대선 출사표…"희망으로! 미래로!" ■ 방송 : [1번지 현장] ■ 진행 : 정호윤 앵커 ■ 대담 : 윤희숙 국민의힘 의원 [앵커] 약 1년 전 국회 본회의장 단상에서 '저는 임차인입니다'라는 5분 연설로 주목받은 초선 의원이 더 큰 도전을 선언했습니다 뉴스1번지 [1번지 현장] 오늘은 대권 출사표를 던진 윤희숙 국민의힘 의원을 만나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윤희숙 / 국민의힘 의원] 안녕하세요 [앵커] 대권 출사표를 던짐과 동시에 주목을 받으셨습니다 초선 대권 도전이라는 측면도 있고요 숭어, 망둥어, 횟집도 아닌데 물고기들이 막 등장해서 또 관심을 이렇게 끌었습니다 어떻게 저희가 받아들이면 되겠습니까? [윤희숙 / 국민의힘 의원] 관심은 제가 아무래도 정책통이니까 그런 기대는 제 생각에는 이 대선 정국이 조금 더 정책 위주로 갔으면 좋겠다, 뭔가 미래를 위해서 얘기하는 걸 보고 싶다 이런 국민들의 어떤 바람 그런 게 좀 표현된 게 아닌가 싶어요 [앵커] 네, 오래 고민을 하신 거죠? [윤희숙 / 국민의힘 의원] 오래 고민하지는 않았는데요 머릿속에 좀 나가야 될 수도 있겠다 이런 생각은 하고 있었습니다 [앵커] 출마 결심하는데 본인 외에 주변 인물들 중에서 내가 출마를 해야 되겠다 이런 영향을 준 인물이 있을까요? [윤희숙 / 국민의힘 의원] 그런 말씀은 많은 분들이 하셨어요 하셨는데, 영향을 지배적으로 줬다기보다는 제 생각이 이 대선 정국이라는 게 5년마다 돌아오는 어떤 생각의 싸움인데 이게 어떤 미래를 향한, 우리나라가 어디로 가야 되느냐에 대한 아주 격렬한 토론장이 되기를 저는 바랐던 거죠 그래서 그런 역할을 하는 사람이 꼭 필요하겠다 그런데 제 눈에 잘 안 보였어요 [앵커] 네, 정책 얘기 좀 해 보겠습니다 노조 관련돼서 1호 공약을 내놓으셨습니다 '귀족노조가 죽어야지 청년이 산다' 어떤 의미입니까? [윤희숙 / 국민의힘 의원] 우리나라에 들어오려고 하는 외국인 투자 기업들한테 서베이 한 걸 보면 들어오기 싫어하는 이유로 가장 중요한 것을 강성노조, 두 번째 고임금을 뽑습니다 이 얘기는 우리 젊은이들이 지금 좋은 일자리가 굉장히 필요해요 굉장히 불안한 상황입니다 우리 다음 세대는 거기에 달려 있는 거거든요 그런데 좋은 일자리가 만들어질 기회를 막고 있는 존재가 있다면 저는 우리 사회가 온 힘을 다해서 그 요인을 없애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게 노조를 없앤다 이런 얘기가 아니라 왜 그렇게 다른 나라보다 훨씬 더 막가파식으로 노조 활동을 하느냐, 운동장이 굉장히 기울어져 있기 때문이거든요 기울어져 있는 구조를 조금 조정을 해 주면 막 힘의 논리에 기반해서 너 죽고 나 죽자 내 임금만 올리면 된다 이런 행태가 아니라 뭔가 서로 상생하고 협력해서 우리 다 같이 잘해보자 이런 분위기로 가는 게 21세기형 노사관계죠 그래야지 이제 경제의 기회들이 생긴다고 저는 믿고요 그런 면에서는 큰 흐름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게 뭐냐 하면 국민들이 노조는 원래 그런 거야, 노조는 원래 죽기 살기로 싸우는 거야, 정부하고 노조는 원래 유착된 거야, 이런 게 고칠 수 없는 문제가 아닙니다 충분히 고칠 수 있고 고쳐야 우리나라가 미래로 가는 거거든요 그 점을 제시를 하고 싶었던 거죠 그래서 1호 공약으로 제가 그것을 발표를 했습니다 [앵커] 귀족노조라는 게 특정 직군·직종이나 아니면 특정 그룹을 염두에 둔 것인지 여쭤보겠습니다 [윤희숙 / 국민의힘 의원] 우리나라에서 보통 귀족노조라고 하면 대기업과 공공부문입니다 이 부분에 약 10%에 해당하는 근로자들이 아주 세요 이 조직력이 너무 세서 그리고 조직력이 센 것에 기반 해서 매우 배타적이고 이기적으로 교섭을 합니다 그리고 한 번 단체 행동을 하면 끝 간 데 없이 하고요 이게 나머지 90% 근로자들하고 별로 연관이 없이 진행이 되고 제일 중요한 것은 일자리가 없어서 아직 바깥에 머무는 사람들에게는 굉장히 기회를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아주 배타적이죠 이런 거는 바꿔줘야 된다라는 것을 많은 국민들이 지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