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북 압박작전'…정부ㆍ의회 '군사옵션' 동시거론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미국 '대북 압박작전'…정부ㆍ의회 '군사옵션' 동시거론 [앵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북핵문제 해결에 있어 중국의 역할을 이끌어내는데 주력하면서도, 직접적인 대북압박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와 의회에서 일제히 대북 군사옵션이 거론됐습니다 그야말로 '압박 작전'입니다 워싱턴에서 이승우 특파원입니다 [기자] '전략적 인내'를 폐기하고 '최고의 압박과 개입'을 대북정책 기조로 정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핵과 미사일 도발을 일삼는 북한을 압박하기 위한 이른바 '압박 작전'을 시작했습니다 여기에는 군사 옵션도 포함된다는 게 미국 국무부의 공식 설명입니다 마크 토너 미 국무부 대변인 대행은 현지시간 25일 전화브리핑에서 대북제재의 완벽한 실행을 강조하면서 "압박 작전이라고 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희망하지는 않지만 필요하다면 군사적 옵션도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이 바른 행동을 하기를 기다리는 시기는 오래전에 지났다는 게 트럼프 정부의 판단입니다 비슷한 시각, 미국 상원, 특히 공화당 거물급 의원들도 대북 선제타격을 입에 올리며 북한을 향해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던졌습니다 상원 군사위 존 매케인 위원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을 선제타격하는 방안을 포함한 모든 옵션을 고려 중"이라며 "다만 선제타격은 가장 마지막 옵션"이라고 밝혔습니다 역시 상원 군사위 소속인 린지 그레이엄 의원은 "북한 미사일의 미국 본토 타격을 막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다짐을, 북한은 과소평가해서는 안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마을에 새 보안관이 왔다'는 점을 북한이 깨닫게 한다는 겁니다 전날 밤,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북핵 문제를 긴밀히 협의한 상태에서 나온 두 거물급 의원의 말이라는 점에서 더욱 무게가 실립니다 상원 동아태소위 코리 가드너 위원장도 "북핵 문제 해결에 필요하다면 군사적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고 가세했습니다 워싱턴에서 연합뉴스 이승우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 4409(제보), 카톡/라인 jebo23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