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하노이' 도착…2차 북미 정상회담 막 올라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트럼프 '하노이' 도착…2차 북미 정상회담 막 올라 [앵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에 이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베트남 하노이에 안착하면서 이제 2차 북미 정상회담의 막이 올랐습니다 두 정상은 27일 저녁 만찬을 시작으로 다양한 형태의 회담을 이어갈 예정인데요 워싱턴 연결해 이번 회담의 전망 짚어봅니다 윤석이 특파원 [기자] 네 워싱턴입니다 [앵커] 트럼프 대통령이 잠시 전 베트남 노이바이 국제공항에 도착했는데 오는 도중 전용기 내에서도 이번 회담에 대한 기대를 거듭 밝혔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19시간에 가까운 비행 끝에 하노이에 도착한 도널드 트럼프는 앞서 기내에서 올린 트위터에서 "매우 생산적인 정상회담을 고대한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출국 전 트윗에서도 "완전한 비핵화로 북한은 급속이 경제 강국이 될 것"이라며 "김 위원장이 현명한 결정을 할 것"이라는 낙관론을 견지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하노이 도착에 앞서 전용기 '에어포스 원' 안에서 참모들로부터 실무회담 상황 등을 보고 받으며 회담의 전략을 가다듬었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번 정상회담의 성과는 북한 비핵화를 비롯한 한반도 정세의 중대 분수령이 되는 것은 물론 2020년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 가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측입니다 2차 정상회담에 임하는 김정은 위원장도 큰 부담을 안고 있기는 마찬가지로 지난해 싱가포르 회담보다는 진전된 결과가 나와야 향후 대화와 협상의 동력을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당초 하루로 예상됐던 정상회담이 1박 2일로 최종 확정되면서 이번 회담 결과에 대한 기대를 더욱 높이고 있는데요? [가자] 네 그렇습니다 세라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현지시간으로 27일 저녁 두 정상이 만나 짧은 대화를 주고 받은 뒤 친교 만찬을 함께 한다"고 밝혔는데요 두 정상은 이번 정상회담 기간에 최소 다섯차례 이상 만나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눌 것으로 보입니다 북미간 대화가 지도자간 담판, 즉 '톱-다운'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두 정상이 자주 만나 이해의 폭을 넓히는 것은 회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관측입니다 첫 친교 만찬에는 미국측에서는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믹 멀베이니 백악관 비서실장 대행이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북한측에서는 김영철 부위원장 등 핵심 참모 2명이 동석할 것으로 보입니다 북미 정상 간 핵 담판은 이튿날인 28일부터 본격적으로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1차 회담때와 마찬가지로 단독 회담에 이어 확대 회담, 오찬 등의 순서로 진행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싱가포르 회담 때처럼 '오솔길 산책' 등 두 정상의 스킨십을 보여줄 깜짝 이벤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입니다 [앵커] 북미회담을 총괄하는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트럼프 대통령보다 앞서 하노이에 도착했는데요 북한 김영철 부위원장 등과 만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트럼트 대통령보다 12시간 정도 먼저 하노이에 도착한 폼페이오 장관은 스티븐 비건-김혁철 특별대표 간 실무협상을 챙기면서 막바지 조율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도착 전 전용기안에서 쓴 트윗을 통해 "비핵화와 관계 진전을 이루기 위한 우리의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의 일정은 공개적으로 알려진 것은 아직 없는 데요 일각에서는 정상회담에 앞서 북한 측 카운터파트인 김영철 부위원장과 만나 합의문을 최종 조율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이번 2차 정상회담에는 참가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던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베트남 하노이에 도착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백악관이 발표한 트럼프 대통령의 수행원명단에서 볼턴 보좌관의 이름이 제외되면서 최근 격화하는 베네수엘라 사태에 대처하기 위해 미국에 남았거나 북한에 대한 배려 차원에서 배제했다는 해석이 나왔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내 대표적인 대북 초강경파인 볼턴 보좌관은 지난해 싱가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