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뇌종양' 항암제 내성 원리 밝혔다 / YTN 사이언스
[앵커] 3차원 체외 종양 모델을 제작해 악성 뇌종양의 약물 저항성 즉, 내성의 원리를 국내 연구진이 밝혔습니다 이 뇌종양 3차원 모델은 종양의 미세 환경을 고려해 제작함으로써 실질적인 암 치료에 적용될 전망입니다 이정우 기자입니다 [기자] 악성 뇌종양은 주변 조직으로 침윤, 즉 서서히 번져 나가는 특성이 매우 강해 치료가 힘든 질병입니다 수술을 통해 종양을 절제해도 주변 조직에 넓게 퍼져 있는 잔여 세포들이 재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악성 뇌종양의 치료 효율과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남아있는 침윤 세포를 표적으로 한 치료법이 필요합니다 KAIST 김필남 교수팀이 종양의 침윤과 약물저항 원리를 밝힐 수 있는 체외 3차원 암 모델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차정화 /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박사과정(제1저자) : 동물 모델이나 그런 다른 실험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이제 환자를 대체할 수 있는 그런 실험용 플랫폼으로 사용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 연구팀은 체내에 존재하는 악성 뇌종양의 특성을 체외에서도 비슷하게 유지 시켜 환자를 대체할 수 있는 종양 모델을 개발한 겁니다 뇌종양 세포가 침윤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히알루론산 합성 단백질을 억제하는 약물을 투입해 뇌종양이 약물에 대한 내성이 생기는 현상을 확인했습니다 이 과정을 동물실험 대신 체외 종양 모델로 진행함으로써 다양한 항암제를 조합하고 검증을 통해 실질적인 암 치료에 활용하는 것입니다 또, 기존 약물의 저항원인 규명은 물론 정밀 암 치료를 위한 핵심 기반 기술로 약물 검증과 신약 발굴 모델로 활용될 전망입니다 공학적 기술 기반의 3차원 미세환경 특성을 반영한 암 모델로 뇌종양 환자의 맞춤형 치료 가능성을 높여 나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김필남 /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 다양한 항암제를 충분히 다시 재검사를 할 수 있을 수가 있을 거고요 그리고 저희가 궁극적으로 원하는 것은 환자 맞춤형 항암제를 테스트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드는 것입니다 ] 뇌종양 치료와 신약 개발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이번 연구는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온라인판에 실렸습니다 YTN 이정우[ljwwow@ytn co kr]입니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